HOME 다음 박물관 활동기록 다음 전시

전시  |  제주4·3 이젠 우리의 역사

목 록

원본이미지 보기 제주4·3 이젠 우리의 역사
제주4·3 이젠 우리의 역사
  • 사업연도 2018
  • 전시기간2018-03-30 ~ 2018-07-03
  • 장소대한민국역사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
  • 협력 및 공동주최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제주4.3 제70주년 범국민위원회
  • 전시주제 제주4·3 70주년 기념 특별전
  • 전시구성 프롤로그-애기동백꽃의 노래
    1부-저기에 있는 봄
    2부-흔들리는 섬
    3부-행여 우리 여기 영영 머물지 몰라
    4부-땅에 남은 흔적, 가슴에 남은 상처
    에필로그-너도 누군가의 꽃이었을테니
  • 소개의 글 제주4·3은 우리 현대사에서 6·25전쟁 다음으로 인명피해가 많았던 비극적인 사건이다. 그리고 진상규명이 되기까지 반세기가 넘게 걸린 슬픈 역사이기도 하다. 1980년대부터 민간차원에서 시작된 진상규명 노력은 2000년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의 제정·공포로 이어졌다. 이를 통해 정부차원의 진상규명과 희생자·유족들의 명예회복을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다. 이 과정에서 2003년 『제주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가 확정되었고 2014년에는 4·3희생자 추념일이 지정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주4·3에 대해서는 국민적 차원의 이해가 충분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70년이 지난 오늘, 당시의 피해자와 유족들은 이미 많은 분들이 세상을 떠났고 우리 곁에 남은 분들이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이분들이 살아온 삶에 대해 이야기하기에는 그동안의 시간이 더디게 흘렀다.

    제주4·3 70주년을 맞아 개최되는 이번 특별전은 『제주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에 기초해 관련 사료와 유품, 미술작품을 중심으로 제주4·3을 보여준다. 이번 전시는 제주4·3이 제주만의 역사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역사로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하는 마음에서 준비되었다. 대한민국의 아픈 역사인 제주4·3을 통해 인권의 소중함을 깨닫고 평화와 상생의 길을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KEYWORD

정부수립    좌우대립



박물관 외벽 대형 현수막 2010년대 / 2018.3.30. 박물관 외벽 대형 현수막 대형 현수막이 걸린 박물관 외벽의 모습이다.

전시실 입구 2010년대 / 2018.3.30. 전시실 입구 전시실 입구의 모습이다.

전시를 열며 2010년대 / 2018.3.30. 전시를 열며 '전시를 열며' 설명 패널과 정낭 연출의 모습이다.

프롤로그 2010년대 / 2018.3.30. 프롤로그 프롤로그 패널의 모습이다.

1부 패널과 전시자료 2010년대 / 2018.3.30. 1부 패널과 전시자료 특별전 1부 '저기에 있는 봄' 전시자료의 모습이다.

1부 벽면 연출 2010년대 / 2018.3.30. 1부 벽면 연출 특별전 1부 '저기에 있는 봄' 벽면에 연출된 전시자료의 모습이다.

2부 미술작품 2010년대 / 2018.3.30. 2부 미술작품 특별전 2부 '흔들리는 섬'에 진열된 미술작품의 모습이다.

2부 전경 2010년대 / 2018.3.30. 2부 전경 특별전 2부 '흔들리는 섬'의 전시자료들의 모습이다.

2부 패널과 전시자료 2010년대 / 2018.3.30. 2부 패널과 전시자료 특별전 2부 '흔들리는 섬' 설명 패널과 진열장의 모습이다.

3부 패널 및 진입 통로 2010년대 / 2018.3.30. 3부 패널 및 진입 통로 특별전 3부 '행여 우리 여기 영영 머물지 몰라' 진입통로와 설명패널의 모습이다.

3부 패널과 전시자료 2010년대 / 2018.3.30. 3부 패널과 전시자료 특별전 3부 '행여 여기 영영 머물지 몰라' 설명 패널과 진열장의 모습이다.

3부 미술작품 2010년대 / 2018.3.30. 3부 미술작품 특별전 3부 '행여 여기 영영 머물지 몰라'에 진열된 미술작품들의 모습이다.

3부 전반부 전경 2010년대 / 2018.3.30. 3부 전반부 전경 특별전 3부 '행여 여기 영영 머물지 몰라' 전반부의 모습이다.

3부 후반부 전경 2010년대 / 2018.3.30. 3부 후반부 전경 특별전 3부 '행여 여기 영영 머물지 몰라' 후반부의 모습이다.

3부 벽면 그래픽 연출 2010년대 / 2018.3.30. 3부 벽면 그래픽 연출 특별전 3부 '행여 여기 영영 머물지 몰라' 벽면 학살지도 그래픽의 모습이다.

3부 군법회의 전시자료 2010년대 / 2018.3.30. 3부 군법회의 전시자료 특별전 3부 '행여 여기 영영 머물지 몰라' 군법회의 관련 전시자료들의 모습이다.

3부 휴게공간 2010년대 / 2018.3.30. 3부 휴게공간 특별전 3부 '행여 여기 영영 머물지 몰라' 휴게공간과 나무연출의 모습이다.

3부 전시자료와 미술작품 2010년대 / 2018.3.30. 3부 전시자료와 미술작품 특별전 3부 '행여 여기 영영 머물지 몰라' 전시자료와 미술작품의 모습이다.

3부 미술작품 2010년대 / 2018.3.30. 3부 미술작품 특별전 3부 '행여 여기 영영 머물지 몰라' 미술작품 'REDCIDE2018'의 모습이다.

3부 미술작품 2010년대 / 2018.3.30. 3부 미술작품 특별전 3부 '행여 여기 영영 머물지 몰라' 미술작품들의 모습이다.

4부 전시자료 2010년대 / 2018.3.30. 4부 전시자료 특별전 4부 '땅에 남은 흔적, 가슴에 남은 상처' 설명 패널과 진열장의 모습이다.

4부 전반부 전경 2010년대 / 2018.3.30. 4부 전반부 전경 특별전 4부 '땅에 남은 흔적, 가슴에 남은 상처' 전반부의 모습이다.

4부 후반부 전경 2010년대 / 2018.3.30. 4부 후반부 전경 특별전 4부 '땅에 남은 흔적, 가슴에 남은 상처' 후반부의 모습이다.

4부 후반부 전경 2010년대 / 2018.3.30. 4부 후반부 전경 출구 쪽에서 바라본 특별전 4부 '땅에 남은 흔적, 가슴에 남은 상처'의 모습이다.

에필로그 전시자료 2010년대 / 2018.3.30. 에필로그 전시자료 에필로그 벽면 그래픽과 진열장의 모습이다.

에필로그 작은 도서관 2010년대 / 2018.3.30. 에필로그 작은 도서관 에필로그 '작은 도서관'의 모습이다.

에필로그 전경 2010년대 / 2018.3.30. 에필로그 전경 에필로그 공간의 모습이다.

개막식에서 축사하는 주진오 관장 2010년대 / 2018.3.30. 개막식에서 축사하는 주진오 관장 개막식에서 환영인사를 하는 주진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장의 모습이다.

축사하는 주진오 관장 2010년대 / 2018.3.30. 축사하는 주진오 관장 환영인사를 하는 주진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장의 모습이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관장 축사 2010년대 / 2018.3.30.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관장 축사 환영인사를 하는 주진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장의 모습이다.

축사하는 양윤경 회장 2010년대 / 2018.3.30. 축사하는 양윤경 회장 개막식에서 축사하는 4·3유족회 양윤경 회장의 모습이다.

4.3유족회 양윤경 회장 축사 2010년대 / 2018.3.30. 4.3유족회 양윤경 회장 축사 개막식에서 축사하는 4·3유족회 양윤경 회장의 모습이다.

개막식에서 축사하는 양윤경 회장 2010년대 / 2018.3.30. 개막식에서 축사하는 양윤경 회장 개막식에서 축사하는 4·3유족회 양윤경 회장의 모습이다.

축사하는 정세균 전 국회의장 2010년대 / 2018.3.30. 축사하는 정세균 전 국회의장 개막식에서 축사하는 정세균 전 국회의장의 모습이다.

조광 국사편찬위원장 축사 2010년대 / 2018.3.30. 조광 국사편찬위원장 축사 개막식에서 축사하는 조광 국사편찬위원장의 모습이다.

축사하는 강창일 국회의원 2010년대 / 2018.3.30. 축사하는 강창일 국회의원 개막식에서 축사하는 강창일 국회의원의 모습이다.

개막식 공연 2010년대 / 2018.3.30. 개막식 공연 개막식 공연을 하는 염경애 명창의 모습이다.

개막식 공연하는 염경애 명창 2010년대 / 2018.3.30. 개막식 공연하는 염경애 명창 개막식 공연을 하는 염경애 명창의 모습이다.

공연을 관람하는 내빈들 2010년대 / 2018.3.30. 공연을 관람하는 내빈들 개막식 공연을 관람하는 내빈들의 모습이다.

염경애 명창 2010년대 / 2018.3.30. 염경애 명창 개막식 공연을 하는 염경애 명창의 모습이다.

개막식 공연하는 송현상 2010년대 / 2018.3.30. 개막식 공연하는 송현상 개막식 공연을 하는 송현상 바리톤의 모습이다.

송현상 공연 2010년대 / 2018.3.30. 송현상 공연 개막식 공연을 하는 송현상 바리톤의 모습이다.

특별전 테이프 커팅식 2010년대 / 2018.3.30. 특별전 테이프 커팅식 개막식 테이프 커팅을 하는 모습이다.

테이프 커팅 2010년대 / 2018.3.30. 테이프 커팅 개막식 테이프 커팅을 하는 모습이다.

이젠 2010년대 / 2018.4 이젠 제주를 상징함과 동시에 4.3을 품은 '한라산'에서 '대지(미래)'로 향하는 과정을 형상화한 작품으로 '이젠(시간적) 미래로 나아가는 역사'를 상징한다. 70주년을 맞이한 4.3을 역사적 의미로 되새기고 '이젠' 대한민국의 가슴아픈 역사를 딛고 미래(인권, 평화, 통일)로 나아가고자 한다.

한국민에게 고함 광복~1950년대 / 1945 한국민에게 고함 해방 후 미군이 한반도에 상륙하기 직전에 서울 일대에 비행기로 살포한 전단이다. 미군은 일본군의 항복을 이행하고 한국의 재건과 질서유지를 위해 주둔하게 되었으니, 한국인은 경솔하거나 무분별한 행동을 자제하고 미군에 협조할 것을 당부하는 내용이다.

신탁통치 반대 혈서 광복~1950년대 / 1946 신탁통치 반대 혈서 1946년 1월 1일 김우경이 주한미군 사령관 하지 중장에게 보낸 신탁통치 반대 혈서와 혈서의 전달을 부탁하는 편지이다.

모스크바 삼상회의지지 전단 광복~1950년대 / 1946 모스크바 삼상회의지지 전단 조선인민공화국 중앙인민위원회 선전부의 전단이다. 모스크바 삼상회의 결정을 따르는 것이 완전한 자주독립의 지름길임을 강조하고 있다.

조선인민보 1946년 5월 10일 광복~1950년대 / 1946 조선인민보 1946년 5월 10일 미소공동위원회 휴회를 둘러싼 국내의 반응이 실려 있는 1946년 5월10일 조선인민보이다.

미군정 비판 전단 광복~1950년대 / 1946 미군정 비판 전단 미소공위 휴회에 대한 반감과 미군정의 미곡정책에 대한 불만 등을 표출한 전단이다.

카테고리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