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자료 > 근현대사 주요 사적지총 "2,664건"
1970년대 /
1976년
정읍 황토현 전적 전경
정읍 황토현 전적의 사당과 갑오동학혁명 기념관, 기념탑 전경이다.
정읍 황토현 전적지
1970년대 /
1976년
정읍 황토현 전적 전경
정읍 황토현 전적의 사당과 갑오동학혁명 기념관 전경이다.
정읍 황토현 전적지
1970년대 /
1976년
정읍 황토현 전적 사당 전경
정읍 황토현 전적 사당의 전경이다.
정읍 황토현 전적지
1970년대 /
1976년
정읍 황토현 전적 사당 전경
정읍 황토현 전적에 위치한 사당의 전경이다.
정읍 황토현 전적지
디지털자료 > 국경일 및 기념일총 "326건"
광복~1950년대 /
1950.6.25.
6·25전쟁 70주년 설치미술 특별전 제막식에 참석한 정세균 국무총리 및 주요 인사
서울특별시 종로구 광화문 북측광장에서 열린 6·25전쟁 70주년 설치미술 특별전 제막식에 참석한 정세균 국무총리, 김은기 6·25전쟁 70주년 사업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 박삼득 국가보훈처장, 반기문 전(前) 유엔사무총장, 정경두 국방부장관, 이정옥 여성가족부장관 및 주한외교사절이 전통의장대의 의전을 받으며 입장하고 있다.
6·25전쟁 70주년 설치미술 특별전 제막식
광복~1950년대 /
1950.6.25.
6·25전쟁 70주년 설치미술 특별전 제막식에 참석한 정세균 국무총리 및 주요 인사
서울특별시 종로구 광화문 북측광장에서 열린 6·25전쟁 70주년 설치미술 특별전 제막식에 참석한 정세균 국무총리, 김은기 6·25전쟁 70주년 사업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 박삼득 국가보훈처장, 반기문 전(前) 유엔사무총장, 정경두 국방부장관이 입장하고 있다.
6·25전쟁 70주년 설치미술 특별전 제막식
광복~1950년대 /
1950.6.25.
6·25전쟁 70주년 설치미술 특별전 제막식에 참석한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
서울특별시 종로구 광화문 북측광장에서 열린 6·25전쟁 70주년 설치미술 특별전 제막식에 참석한 반기문 전(前) 유엔사무총장, 정세균 국무총리, 정경두 국방부장관, 강경화 외교부장관이 입장하고 있다.
6·25전쟁 70주년 설치미술 특별전 제막식
광복~1950년대 /
1950.6.25.
6·25전쟁 70주년 설치미술 특별전 제막식에 참석한 강경화 외교부장관
서울특별시 종로구 광화문 북측광장에서 열린 6·25전쟁 70주년 설치미술 특별전 제막식에 참석한 강경화 외교부장관, 정경두 국방부장관, 이정옥 여성가족부장관이 입장하고 있다.
6·25전쟁 70주년 설치미술 특별전 제막식
디지털자료 > 행사 및 이슈총 "4,562건"
2020년대 /
2022.5.9.
청와대 통행로에서 대기하는 경찰대원들
문재인 대통령 청와대 마지막 퇴근길 행사가 열리는 청와대 분수대 앞 통행로에서 경찰대원들이 대기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 청와대 마지막 퇴근길 인사
2020년대 /
2022.5.9.
청와대 통행로 전경
문재인 대통령 청와대 마지막 퇴근길 행사가 열리는 청와대 분수대 앞 통행로에서 경찰대원들이 대기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 청와대 마지막 퇴근길 인사
2020년대 /
2022.5.9.
청와대 분수대 주변 행사장에서 문재인 대통령 응원 피켓을 든 시민
문재인 대통령 청와대 마지막 퇴근길 행사가 열리는 청와대 분수대 주변 행사장에서 문재인 대통령 응원 피켓을 든 시민의 모습이다.
문재인 대통령 청와대 마지막 퇴근길 인사
2020년대 /
2022.5.9.
청와대 분수대 주변 행사장 전경
문재인 대통령 청와대 마지막 퇴근길 행사가 열리는 청와대 분수대 주변 행사장 전경이다. 관계자와 시민들이 모여있다.
문재인 대통령 청와대 마지막 퇴근길 인사
디지털자료 > 외부수집자료총 "6,910건"
광복~1950년대 /
1950~60년대
김영삼 국회의원
1950-60년대 국회의원 김영삼의 모습이다.
김영삼민주센터 소장자료
광복~1950년대 /
1950년대
김영삼 국회의원 후보 유세 연설
김영삼 국회의원 후보자가 선거 유세 연설을 하는 유세장 전경이다.
김영삼민주센터 소장자료
광복~1950년대 /
1950년대
김영삼 국회의원 후보 유세 연설
김영삼 국회의원 후보자가 선거 유세 연설을 하는 유세장 전경이다.
김영삼민주센터 소장자료
광복~1950년대 /
1950년대
김영삼 국회의원 후보 유세 연설
김영삼 국회의원 후보자가 선거 유세 연설을 하는 유세장 전경이다.
김영삼민주센터 소장자료
박물관 활동기록 > 전시총 "1,950건"
2020년대 /
2021
광화문 특별전 파사드
광화문 특별전 파사드의 모습이다.
공간으로 보는 한국현대사, 광화문
2020년대 /
2021
프롤로그 광화문 스케치
프롤로그 공간 '광화문 스케치' 전경이다.
공간으로 보는 한국현대사, 광화문
2020년대 /
2021
1부 다시 찾은 광화문
1부 다시 찾은 광화문 공간 모습이다.
공간으로 보는 한국현대사, 광화문
2020년대 /
2021
1부 다시 찾은 광화문
1부 다시 찾은 광화문 공간 모습이다.
공간으로 보는 한국현대사, 광화문
박물관 활동기록 > 행사·홍보총 "195건"
2010년대 /
2019.4.29
2019년 제1회 현대사박물관포럼 특강자 박태균 교수와 참석자들의 단체 기념 사진
서울대 국제대학원의 박태균 교수가 "암살 : 왜곡된 현대사의 서막"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다. 강연자와 참석자의 기념촬영 모습이다.
2019 현대사 박물관 포럼
2010년대 /
2019.4.29
2019년 제1회 현대사박물관포럼 특강자 박태균 교수
서울대 국제대학원의 박태균 교수가 "암살 : 왜곡된 현대사의 서막"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다. 강연자의 모습이다.
2019 현대사 박물관 포럼
2010년대 /
2019.4.29
2019년 제1회 현대사박물관 포럼 기조 인사말 중인 김선미 학예연구사
서울대 국제대학원의 박태균 교수가 "암살 : 왜곡된 현대사의 서막"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다. 사회자의 모습이다.
2019 현대사 박물관 포럼
2010년대 /
2019.4.29
2019년 제1회 현대사박물관 포럼 전경
서울대 국제대학원의 박태균 교수가 "암살 : 왜곡된 현대사의 서막"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다. 장내 모습이다.
2019 현대사 박물관 포럼
박물관 활동기록 > 연구·교육총 "195건"
1980년대 /
1919~1980
'생생역사' 강의
문외솔 외부강사가 '생생역사(생각에 생각을 키우는 역사) 11기' 겨울방학 교육의 시청각 강의를 하고 있다.
2020 어린이 방학프로그램
광복~1950년대 /
1948
'생생역사' 전시실 활동
학생이 '생생역사(생각에 생각을 키우는 역사) 12기' 겨울방학 교육의 전시실 활동에서 전시물(제헌헌법 전문)을 감상하며 활동지를 작성하고 있다.
2020 어린이 방학프로그램
2020년대 /
2020
'생생역사' 체험 활동 결과물
학생이 제작한 '생생역사(생각에 생각을 키우는 역사) 12기' 겨울방학 1차시 교육의 체험 활동 결과물(민주주의 응원 타월)이다.
2020 어린이 방학프로그램
2020년대 /
2020
'생생역사' 전시실 활동지
학생이 작성한 '생생역사(생각에 생각을 키우는 역사) 13기' 겨울방학 교육의 2차시 활동지이다.
2020 어린이 방학프로그램
박물관 활동기록 > 교육영상총 "23건"
개항~대한제국(1910) /
1876~1910
개항, 세계와 소통하다 국문(5분)
개항은 우리에게 위기이자 기회였다. 정부의 근대화 정책이 성공하지는 못했지만, 새로운 생각을 가진 개인의 출현은 현대 한국사회의 초석이 되었다.
개항, 세계와 소통하다
개항~대한제국(1910) /
1876~1910
opening of port, communicating with the World(5min)
개항은 우리에게 위기이자 기회였다. 정부의 근대화 정책이 성공하지는 못했지만, 새로운 생각을 가진 개인의 출현은 현대 한국사회의 초석이 되었다.
개항, 세계와 소통하다
개항~대한제국(1910) /
1876~1910
개항, 세계와 소통하다 국문(30분)
개항은 우리에게 위기이자 기회였다. 정부의 근대화 정책이 성공하지는 못했지만, 새로운 생각을 가진 개인의 출현은 현대 한국사회의 초석이 되었다.
개항, 세계와 소통하다
개항~대한제국(1910) /
1876~1910
opening of port, communicating with the World(30min)
개항은 우리에게 위기이자 기회였다. 정부의 근대화 정책이 성공하지는 못했지만, 새로운 생각을 가진 개인의 출현은 현대 한국사회의 초석이 되었다.
개항, 세계와 소통하다
박물관 활동기록 > 구술영상총 "834건"
1980년대 /
1980년대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과 대북협상 (1)
북방정책과 남북관계에 있어서 전두환 정부의 역할과 88계획, 1985년 남북정상회담 무산 등에 대해 구술한 영상이다.
현대사증언(박철언)
1980년대 /
1980년대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과 대북협상 (2)
노태우 정부의 대북정책이 전향적으로 발표될 수 있었던 동력에 대해 구술한 영상이다.
현대사증언(박철언)
1980년대 /
1989~1990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과 대북협상 (3)
1989년 금강산관광 추진 당시 여건과 불발하게 된 이유와 남북관계에서 민간교류 위법성 논란 등에 대해 구술한 영상이다.
현대사증언(박철언)
1990년대 /
1990~1992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과 대북협상 (4)
북방정책에서 한소 정상회담 및 대소경협차관에 대한 평가와 한중수교문제 등에 관해 구술한 영상이다.
현대사증언(박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