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다음 디지털자료 다음 현대사 현장

현대사 현장  |  구 강촌역

목 록

원본이미지 보기 구 강촌역
구 강촌역
  • 촬영연도 2017
  • 자료연대일제강점기(1910~1945)
  • 생산기관대한민국역사박물관
  • 자료주제 구 강촌역
  • 소개의 글 구 강촌역은 일제강점기인 1939년 7월 설치되었으나 역무원과 역사조차 없는 이름뿐인 역에 불과했고, 6.25전쟁 이후인 1953년에야 역사가 들어섰다. 1972년 12월 역 주변에 출렁다리라고도 불린 등선교가 건립되어 강촌의 랜드마크로 널리 알려지면서 그 일대를 찾는 관광객들이 강촌역을 이용하며 역의 수송인구가 늘어났다. 또한 강촌역 주변은 북한강을 끼고 있는 아름다운 경치와 곳곳에 흩어져 있는 민박 등의 시설로 인하여 7,80년대 젊은이들의 대표적인 휴양지와 대학생들의 MT지역으로 각광받았다. 구 강촌역은 2010년 12월 경춘선 복선 전철 개통으로 인해 폐쇄되었고, 새로운 강촌역은 구 강촌역과 600m 떨어진 방곡리로 이전·건립되었다. 2012년에 구 강촌역을 기점으로 레일바이크를 운행하면서 강촌 일대는 다시 한 번 여행지로 주목을 받고 있다.
KEYWORD

일제 강점기



구 강촌역 전경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전경 구 강촌역의 전경이다.

구 강촌역 전경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전경 구 강촌역의 전경이다. 2010년 12월 21일에 경춘선 복선 전철이 개통되면서 역은 방곡리로 이전하였다.

구 강촌역 전경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전경 구 강촌역의 전경이다. 2012년 8월부터 민간사업자인 강촌레일파크가 구 강촌역 인근 경춘선 철로를 활용하여 강촌 레일바이크를 운영하고 있다.

구 강촌역 전경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전경 구 강촌역 전경인데 구 강촌역 역사와 터널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구 강촌역 정면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정면 구 강촌역 정면으로 구 강촌역 아래에 자전거 도로와 국내 최초의 현수교인 등선교 교각이 남아 있다.

구 강촌역사 정면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사 정면 구 강촌역사 정면으로 구 강촌역은 경사가 급한 박공 지붕의 건물로 육교에는 벽과 지붕을 얹었다.

구 강촌역사 좌측면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사 좌측면 구 강촌역사의 좌측면이다. 구 강촌역사의 구성은 본체와 육교로 되어 있으며, 본체 오른쪽은 일자로 왼쪽은 ㄴ자로 되어 있다.

구 강촌역사 정면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사 정면 구 강촌역사의 정면이다. 철길이 구 강촌역사 앞으로 나 있어 철길 건너편 플랫폼과의 연결을 위하여 육교를 세웠다.

구 강촌역사 측면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사 측면 구 강촌역사의 측면으로 구 강촌역으로 지나가던 철길이 있었던 자리의 모습이다.

구 강촌역 육교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육교 구 강촌역의 육교인데 구 강촌역사 2층에서 플랫폼을 연결하던 육교이다.

구 강촌역 철길 자리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철길 자리 구 강촌역으로 지나가던 철길이 있었던 자리의 모습이다.

구 강촌역 철길 자리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철길 자리 구 강촌역의 철길 자리이다. 구 강촌역 철길이 있었던 장소에는 셔틀버스가 다니고 있다.

구 강촌역사 좌측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사 좌측 구 강촌역사 좌측으로 장방형의 횡으로 긴 형태이며 보조출입구와 창문이 있다.

구 강촌역사 우측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사 우측 구 강촌역사의 우측 건물로 정방형의 1층 건물이다.

구 강촌역사 우측 건물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사 우측 건물 레일바이크 매표소로 사용되고 있는 구 강촌역사의 우측 건물이다.

구 강촌역사 그래피티와 포토존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사 그래피티와 포토존 구 강촌역사 벽면에 그려진 그래피티와 포토존이다.

구 강촌역 포토존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포토존 구 강촌역의 포토존이다.

강촌레일바이크 매표소 입구 1970년대 / 1978년 강촌레일바이크 매표소 입구 강촌레일바이크 매표소 입구로 구 강촌역사 주출입구 좌측 건물의 입구이다.

강촌레일바이크 매표소 입구 1970년대 / 1978년 강촌레일바이크 매표소 입구 강촌레일바이크 매표소의 입구이다.

구 강촌역 피암터널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피암터널 구 강촌역 피암터널인데 구 강촌역을 지나는 터널로 터널 오른쪽에 플랫폼이 있다.

구 강촌역 터널 벽면 낙서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터널 벽면 낙서 구 강촌역 터널 벽면에 그려진 낙서이다.

구 강촌역 터널 벽면의 그라피티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터널 벽면의 그라피티 구 강촌역 터널 벽면의 그래피티이다.

구 강촌역 터널 벽면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터널 벽면 구 강촌역 터널 벽면인데 구 강촌역 플랫폼쪽 터널은 아치형으로 뚫어져 있다.

구 강촌역 터널과 플랫폼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터널과 플랫폼 구 강촌역 피암터널의 아치형 기둥과 플랫폼 안내판에 그려진 그래피티이다.

구 강촌역 그래피티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그래피티 구 강촌역 플랫폼 안내판에 그려진 강촌 그래피티이다.

구 강촌역 역 안내판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역 안내판 구 강촌역 플랫폼에 설치된 강촌역 안내판이다.

구 강촌역 역 안내판과 낙서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역 안내판과 낙서 구 강촌역 플랫폼에 설치된 안내판과 터널 기둥의 낙서이다.

구 강촌역 역 안내판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역 안내판 구 강촌역의 역 안내판이다.

구 강촌역 출입구 안내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출입구 안내 구 강촌역의 출입구 안내 화살표이다.

구 강촌역 철길 자리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철길 자리 구 강촌역에서 터널을 지나면 보이는 철길이 있던 자리이다.

피암터널 내부 1970년대 / 1978년 피암터널 내부 피암터널 내부에 춘천 방면과 청량리 방면의 열차를 타는 곳을 알리는 안내판이 있다.

피암터널 그래피티 1970년대 / 1978년 피암터널 그래피티 피암터널 그래피티 중 끝 부분의 그래피티이다.

구 강촌역 출입구 안내판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출입구 안내판 구 강촌역의 출입구 안내판이다.

피암터널 곡선 부분 1970년대 / 1978년 피암터널 곡선 부분 피암터널 내부의 곡선 부분이다.

역사 방향 피암터널 1970년대 / 1978년 역사 방향 피암터널 구 강촌역 역사 방향 피암터널의 내부이다.

피암터널 출구 1970년대 / 1978년 피암터널 출구 피암터널의 출구이다.

피암터널 명패 1970년대 / 1978년 피암터널 명패 터널 기둥 위에 강촌피암터널이라는 명패가 달려 있다.

피암터널 출구 안내와 낙서 1970년대 / 1978년 피암터널 출구 안내와 낙서 피암터널 내부의 출구 안내와 낙서이다.

레일바이크 매표소 내부 1970년대 / 1978년 레일바이크 매표소 내부 레일바이크 매표소 내부인데 레일바이크 매표소 안에는 탑승 안내와 운행요금이 안내되어 있다.

경춘선 강촌철교 1970년대 / 1978년 경춘선 강촌철교 경춘선 강촌철교인데 경춘선 기차가 다녔던 철교는 레일바이크 역으로 사용되고 있다.

경춘선 강촌철교 측면 1970년대 / 1978년 경춘선 강촌철교 측면 경춘선 강촌철교 측면으로 경춘선 기차가 북한강을 건넜던 철교이다.

경춘선 강촌철교 입구 1970년대 / 1978년 경춘선 강촌철교 입구 경춘선 강촌철교 입구인데 경춘선 강촌철교 한쪽에 데크를 깔고 걸어 들어갈 수 있도록 하였다.

구 강촌역 안내판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안내판 구 강촌역 안내판으로 구 강촌역 연혁과 주변 경관에 대한 내용이 쓰여 있다.

구 강촌역 종합 안내판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종합 안내판 구 강촌역의 종합 안내판이다.

구 강촌역 시비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시비 구 강촌역의 시비로 임애월의 시 '강촌역'이 쓰여 있다.

피암터널 준공 표지판 1970년대 / 1978년 피암터널 준공 표지판 피암터널 준공 표지판으로 248m의 피암터널이 1995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1998년에 완공되었다는 내용이다.

카테고리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