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점기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전경
구 강촌역의 전경이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전경
구 강촌역의 전경이다. 2010년 12월 21일에 경춘선 복선 전철이 개통되면서 역은 방곡리로 이전하였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전경
구 강촌역 전경인데 구 강촌역 역사와 터널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정면
구 강촌역 정면으로 구 강촌역 아래에 자전거 도로와 국내 최초의 현수교인 등선교 교각이 남아 있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사 정면
구 강촌역사 정면으로 구 강촌역은 경사가 급한 박공 지붕의 건물로 육교에는 벽과 지붕을 얹었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사 좌측면
구 강촌역사의 좌측면이다. 구 강촌역사의 구성은 본체와 육교로 되어 있으며, 본체 오른쪽은 일자로 왼쪽은 ㄴ자로 되어 있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사 정면
구 강촌역사의 정면이다. 철길이 구 강촌역사 앞으로 나 있어 철길 건너편 플랫폼과의 연결을 위하여 육교를 세웠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사 측면
구 강촌역사의 측면으로 구 강촌역으로 지나가던 철길이 있었던 자리의 모습이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육교
구 강촌역의 육교인데 구 강촌역사 2층에서 플랫폼을 연결하던 육교이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철길 자리
구 강촌역으로 지나가던 철길이 있었던 자리의 모습이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철길 자리
구 강촌역의 철길 자리이다. 구 강촌역 철길이 있었던 장소에는 셔틀버스가 다니고 있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사 좌측
구 강촌역사 좌측으로 장방형의 횡으로 긴 형태이며 보조출입구와 창문이 있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사 우측
구 강촌역사의 우측 건물로 정방형의 1층 건물이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사 우측 건물
레일바이크 매표소로 사용되고 있는 구 강촌역사의 우측 건물이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사 그래피티와 포토존
구 강촌역사 벽면에 그려진 그래피티와 포토존이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포토존
구 강촌역의 포토존이다.
1970년대 /
1978년
강촌레일바이크 매표소 입구
강촌레일바이크 매표소 입구로 구 강촌역사 주출입구 좌측 건물의 입구이다.
1970년대 /
1978년
강촌레일바이크 매표소 입구
강촌레일바이크 매표소의 입구이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피암터널
구 강촌역 피암터널인데 구 강촌역을 지나는 터널로 터널 오른쪽에 플랫폼이 있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터널 벽면 낙서
구 강촌역 터널 벽면에 그려진 낙서이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터널 벽면의 그라피티
구 강촌역 터널 벽면의 그래피티이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터널 벽면
구 강촌역 터널 벽면인데 구 강촌역 플랫폼쪽 터널은 아치형으로 뚫어져 있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터널과 플랫폼
구 강촌역 피암터널의 아치형 기둥과 플랫폼 안내판에 그려진 그래피티이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그래피티
구 강촌역 플랫폼 안내판에 그려진 강촌 그래피티이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역 안내판
구 강촌역 플랫폼에 설치된 강촌역 안내판이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역 안내판과 낙서
구 강촌역 플랫폼에 설치된 안내판과 터널 기둥의 낙서이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역 안내판
구 강촌역의 역 안내판이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출입구 안내
구 강촌역의 출입구 안내 화살표이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철길 자리
구 강촌역에서 터널을 지나면 보이는 철길이 있던 자리이다.
1970년대 /
1978년
피암터널 내부
피암터널 내부에 춘천 방면과 청량리 방면의 열차를 타는 곳을 알리는 안내판이 있다.
1970년대 /
1978년
피암터널 그래피티
피암터널 그래피티 중 끝 부분의 그래피티이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출입구 안내판
구 강촌역의 출입구 안내판이다.
1970년대 /
1978년
피암터널 곡선 부분
피암터널 내부의 곡선 부분이다.
1970년대 /
1978년
역사 방향 피암터널
구 강촌역 역사 방향 피암터널의 내부이다.
1970년대 /
1978년
피암터널 출구
피암터널의 출구이다.
1970년대 /
1978년
피암터널 명패
터널 기둥 위에 강촌피암터널이라는 명패가 달려 있다.
1970년대 /
1978년
피암터널 출구 안내와 낙서
피암터널 내부의 출구 안내와 낙서이다.
1970년대 /
1978년
레일바이크 매표소 내부
레일바이크 매표소 내부인데 레일바이크 매표소 안에는 탑승 안내와 운행요금이 안내되어 있다.
1970년대 /
1978년
경춘선 강촌철교
경춘선 강촌철교인데 경춘선 기차가 다녔던 철교는 레일바이크 역으로 사용되고 있다.
1970년대 /
1978년
경춘선 강촌철교 측면
경춘선 강촌철교 측면으로 경춘선 기차가 북한강을 건넜던 철교이다.
1970년대 /
1978년
경춘선 강촌철교 입구
경춘선 강촌철교 입구인데 경춘선 강촌철교 한쪽에 데크를 깔고 걸어 들어갈 수 있도록 하였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안내판
구 강촌역 안내판으로 구 강촌역 연혁과 주변 경관에 대한 내용이 쓰여 있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종합 안내판
구 강촌역의 종합 안내판이다.
1970년대 /
1978년
구 강촌역 시비
구 강촌역의 시비로 임애월의 시 '강촌역'이 쓰여 있다.
1970년대 /
1978년
피암터널 준공 표지판
피암터널 준공 표지판으로 248m의 피암터널이 1995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1998년에 완공되었다는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