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다음 디지털자료 다음 현대사 현장

현대사 현장  |  진해군항마을

목 록

원본이미지 보기 진해군항마을
진해군항마을
  • 촬영연도 2016
  • 자료연대일제강점기(1910~1945)
  • 생산기관대한민국역사박물관
  • 자료주제 진해군항마을
  • 소개의 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에 위치한 진해 군항마을은 1912년 일본이 군항도시를 만들기 위해서 우리나라 최초로 방사형 계획도시를 구상하여 조성한 곳이다. 방사형 도시는 도시의 영역과 거리망이 중심에서 사방으로 뻗어 이루어진 도시 형태로 프랑스 파리가 이에 속한다. 방사형 도시는 미관이 아름답고 도심부로의 접근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1904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대규모의 군대를 한국에 진주시켰다. 1905년 을사조약을 강제한 일본은 식민지 본격사업과 앞으로 벌어질 전쟁을 준비기 위하여 한반도에 군항을 건설하려는 계획을 세우게 된다. 현 창원시 진해구인 웅천군을 군항기지로 정하고 1910년 임시 해군 건축부 지부를 조선에 세웠다. 1912년 4월 청사와 부두 시설이 일부 완공되고 해군방비대가 이전해왔으며 지명도 웅천에서 진해로 바뀌었다. 일본은 1916년 진해를 요항으로 정하고 1923년 진해 군항 설치공사를 완공하였다. 이에 따라 진해는 일본 제3 해군구 요항으로 확정되었다. 군사기지로 설계된 탓에 도심으로의 빠른 접근을 위해 중원·북원·남원이라는 세 로터리를 중심으로 도시를 구획하였고 중원로터리를 중심으로 방사선형 팔거리가 조성되었다. 광복 이후 일제가 설계한 군항시설이 그대로 인계되어 대한민국 해군이 사용하게 되었다. 광복에 이어 벌어진 6·25전쟁을 겪으면서 진해는 대한민국과 연합군 해군기지로 사용되었고 이에 따라 군사시설도 확장되었다. 현재 진해에는 해군사관학교 등 다양한 해군관련 시설이 자리하고 있다. 또한 진해에는 매년 3월 말부터 4월 초까지 열흘간 진해군항제가 열리고 있다. 1952년 4월 13일 진해에 이순신 장군 동상이 세워지고 추모제가 열리던 것이 1963년부터 군항제로 이름을 바꾸면서 시작된 것이다. 또한 진해는 축제기간이 도시 전역에 심어진 제주도산 왕벚나무가 꽃을 피우는 시기와 맞물리면서 벚꽃축제 명소가 되었다. 2014년 10월 진해군항마을은 국가기록원 지정 제7호 기록사랑마을이 되었다. 진해는 다수의 근현대문화 유산이 보존되어 있는 도시로, 중원로터리 근방은 사적 제291호 진해우체국 등 근대시기의 문화유산을 둘러볼 수 있는 역사탐방지역이기도 하다. 진해군항마을 전시관에서는 백범 김구의 진해 방문사진 등 역사적 자료를 살펴볼 수 있다.
KEYWORD

일제 강점기    군항도시    계획도시    해군기지



진해 군항마을 전경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전경 중원로터리 인근 상공에서 바라본 진해군항마을 전경 파노라마이다.

진해 군항마을 전경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전경 중원로터리 인근 상공에서 바라본 진해군항마을의 남측이다.

진해 군항마을 전경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전경 중원로터리 인근 상공에서 바라본 진해군항마을의 남서측이다.

진해 군항마을 전경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전경 중원로터리 인근 상공에서 바라본 중원로터리가 보이는 진해 군항마을의 서측이다.

진해 군항마을 전경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전경 중원로터리 인근 상공에서 바라본 복원로터리 방향 진해 군항마을의 북서측이다.

진해 군항마을 전경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전경 중원로터리 인근 상공에서 바라본 진행군항마을의 북서측이다.

진해 군항마을 전경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전경 중원로터리 인근 상공에서 바라본 진행군항마을의 북측이다.

진해 군항마을 전경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전경 제황산 벚꽃길 상공에서 바라본 진해탑과 중원로터리가 보이는 진해 군항마을의 동측 전경이다.

진해 군항마을 중원로터리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중원로터리 제황산 벚꽃길 상공에서 바라본 진해 군항마을의 중원로터리이다.

진해 군항마을 전경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전경 벚꽃로 상공에서 바라본 근대역사 테마거리가 보이는 군항마을의 북측 전경이다.

진해 군항마을 전경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전경 벚꽃로 상공에서 바라본 근대역사 테마거리가 보이는 진해 군항마을의 북측 전경이다.

진해 군항마을 근대역사 테마거리 입구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근대역사 테마거리 입구 진해 군항마을 근대역사 테마거리 입구에 있는 조형물이다.

진해 군항마을 근대역사 테마거리 입구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근대역사 테마거리 입구 진해 군항마을 근대역사 테마거리 입구에 있는 조형물이다.

진해 군항마을 근대역사 테마거리 입구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근대역사 테마거리 입구 제7호 기록사랑마을 표지석이 보이는 진해 군항마을 근대역사 테마거리의 입구이다.

진해 군항마을 안내문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안내문 진해 군항마을 근대역사 테마거리에 전시되어 있는 개화기의 진해 역사에 대한 안내문이다.

진해 군항마을 근대역사 테마거리 관람객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근대역사 테마거리 관람객 진해 군항마을 근대역사 테마거리에 전시되어 있는 패널을 보고 있는 관람객이다.

진해 군항마을 근대역사 테마거리 해군 조형물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근대역사 테마거리 해군 조형물 진해 군항마을 근대역사 테마거리에 전시되어 있는 해군 조형물이다.

진해 군항마을 근대역사 테마거리 전경 육전대 항거 조형물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근대역사 테마거리 전경 육전대 항거 조형물 근대역사 테마거리에 전시되어 있는 일제강점기 육전대에 항거하는 모습 조형물이다.

진해 군항마을 역사관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역사관 진해 군항마을 역사관의 정면이다.

진해 군항마을 일본식 장옥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일본식 장옥 일본식 장옥을 그대로 활용하고 있는 군항마을의 찻집이다.

진해 군항마을 마크사 거리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마크사 거리 마크 사거리에 있는 진해마크사 상점이다.

진해 군항마을 마크사 거리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마크사 거리 진해 군항마을 마크사 거리의 풍경이다.

진해 군항마을 황해당 인판사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황해당 인판사 일본식 장옥을 그대로 활용하고 있는 황해당 인판사이다.

진해 군항마을 황해당 인판사 내부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황해당 인판사 내부 진해 군항마을에 위치한 황해당 인판사의 내부이다.

진해 군항마을 황해당 인판사 내부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황해당 인판사 내부 진해 군항마을에 위치한 황해 당인판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금속활자이다.

진해 군항마을내 상점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내 상점 진해 군항마을의 일본식 장옥 사이에 있는 한옥형태의 상점이다.

진해 군항마을 수양회관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수양회관 일본식 장옥을 그대로 활용하고 있는 수양회관이다.

진해 군항마을 수양회관 안내문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수양회관 안내문 수양회관에 대한 설명과 측면도가 있는 안내판이다.

진해 군항마을 일본식 장옥 상점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일본식 장옥 상점 일본식 장옥을 활용하고 있는 진해 군항마을의 상점이다.

진해 군항마을 일본식 장옥 상점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일본식 장옥 상점 일본식 장옥을 활용하고 있는 진해 군항마을의 상점이다.

진해 군항마을 일본식 장옥 상점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일본식 장옥 상점 일본식 장옥을 활용하고 있는 진해 군항마을의 상점의 창살이다.

진해 군항마을 일본식 장옥 상점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일본식 장옥 상점 일본식 장옥을 활용하고 있는 진해 군항마을의 상점이다.

진해 군항마을 일본식 장옥 상점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일본식 장옥 상점 일본식 장옥을 활용하고 있는 진해 군항마을의 상점이다.

진해 군항마을 일본식 장옥 상점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일본식 장옥 상점 일본식 장옥을 활용하고 있는 진해 군항마을의 상점이다.

진해 군항마을 진해 중앙교회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진해 중앙교회 진해 군항마을에 위치한 진해 중앙교회이다.

진해 군항마을 전통찻집 흑백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전통찻집 흑백 창원시 근대건조물로 선정된 문화공간인 전통찻집 흑백에 대한 안내판이다.

진해 군항마을 전통찻집 흑백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전통찻집 흑백 창원시 근대건조물로 선정된 문화공간인 전통찻집 흑백의 입구이다.

진해 군항마을 제황산과 진해탑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제황산과 진해탑 진해 군항마을 중원로터리에서 바라본 제황산과 진해탑이다.

진해 군항마을 진해 우체국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진해 우체국 진해 군항마을에 위치한 사적 제291호로 지정된 진해 우체국이다.

진해 군항마을 진해 우체국 게시판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진해 우체국 게시판 사적 제 291호로 지정된 진해 우체국의 게시판이다.

진해 군항마을 제황산 전경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제황산 전경 진해 군항마을 중원로터리 방면에서 바라본 제황산 케이블카와 진해탑이다.

현시학 해군 소장 동상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현시학 해군 소장 동상 제황산 정상 진해박물관 앞에 있는 현시학 해군 소장의 동상이다.

집해탑 근대건조물 표석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집해탑 근대건조물 표석 진해탑 앞에 있는 집해탑이 창원시 근대건조물로 지정되었다는 내용의 표석이다.

제황산 케이블카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제황산 케이블카 제황산 정산에 있는 케이블카 정류장과 레일이다.

진해 군항마을 전경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전경 진해탑에서 바라본 중원로터리를 중심으로 한 진해 군항마을 전경이다.

진해 군항마을 북측 전경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북측 전경 진해탑에서 바라본 진해역이 보이는 진해 군항마을의 북측 전경이다.

진해 남원로터리 방향 전경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남원로터리 방향 전경 진해탑에서 바라본 남원로터리 방향의 전경이다.

진해 군항마을 중원로터리 전경 개항~대한제국(1910) / 1912 진해 군항마을 중원로터리 전경 진해탑에서 바라본 진해 군항마을 중원로터리의 전경이다.

카테고리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