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 참전용사 초도 미군 1·4후퇴 인천상륙작전 LST 미군기지 제5공군
광복~1950년대 /
1952-53.
소사리 마을 전경
초도(椒島) 소사리 마을 전경이다. 소사리 마을은 초도의 해안가에 인접해 있다.
광복~1950년대 /
1952-53.
소사리 마을의 남자아이
소사리 마을 길가의 남자아이이다. 소사리 마을의 주민들은 나이가 어린 남자아이들의 옷을 입히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광복~1950년대 /
1952-53.
초도의 국민학교 건물
초도(椒島)의 국민학교 건물이다. 사진이 촬영된 1950년대 초반 당시 건물은 창문에 유리가 없이 지어진 상태였다.
광복~1950년대 /
1952-53.
소달구지를 끌고 가는 마을 주민
초도(椒島)의 마을 주민이 소달구지를 끌고 가고 있다.
광복~1950년대 /
1952-53.
소달구지에 올라탄 남성
초도(椒島) 미군 부대의 벙커를 짓는 한국인 근로자였던 남성이 소달구지를 타고 이동하고 있다.
광복~1950년대 /
1952-53.
짚더미를 이고 가는 여인들
마을 여인들이 짚더미를 머리에 이고 논밭을 가로질러 걸어가고 있다.
광복~1950년대 /
1952-53.
소사리 마을과 여자아이
윌리엄 코크런이 초도(椒島)의 소사리 마을을 지나던 중 찍은 마을의 여자 아이이다.
광복~1950년대 /
1952-53.
소사리 마을의 아이들
초도(椒島) 소사리 마을의 아이들이다.
광복~1950년대 /
1952-53.
배를 만드는 사람들
초도(椒島) 주민들이 배를 만드는 작업을 하고 있다.
광복~1950년대 /
1952-53.
소사리 마을 민가와 길가
마을 주민 여성들이 소사리 마을의 길목을 지나고 있다.
광복~1950년대 /
1952-53.
새참을 먹는 남성
초도(椒島)의 미군용 벙커를 짓는 일꾼이었던 한국인 남성이 점심시간에 식사를 하고 있다.
광복~1950년대 /
1952-53.
이장하기 전 땅을 파는 남성
젊은 남성을 중심으로 이장할 묘지의 땅을 파내고 있다.
광복~1950년대 /
1952-53.
관을 꺼내는 사람들
마을 주민이 묘지에 묻혀있던 관을 발견하고 꺼내는 모습이다.
광복~1950년대 /
1952-53.
이장할 묘지에서 관을 꺼내는 마을 주민들
이장할 묘지에서 꺼낸 관을 이동시키기 위해 멍석으로 관을 감싸는 모습이다.
광복~1950년대 /
1952-53.
멍석으로 관을 감싸는 마을 주민들
묘지에서 빼낸 관을 멍석으로 감싸고 있다.
광복~1950년대 /
1952-53.
관을 옮기는 마을 주민들
관을 다른 묘지로 옮기기 위해 마을 주민들이 관을 들고 옮기고 있다.
광복~1950년대 /
1952-53.
팽이 치는 소년
길가의 소년이 줄이 달린 막대를 쳐서 팽이를 돌리고 있다.
광복~1950년대 /
1952-53.
길가에서 음식을 구워 파는 여인
길가의 여성이 천막 안에서 석쇠 위에 음식을 굽고 있다.
광복~1950년대 /
1952-53.
카메라를 든 남성에 포착된 소년
카메라를 든 남성이 빨간색 옷을 입은 남자 아이의 사진을 찍고 있다.
광복~1950년대 /
1952-53.
미군의 수송선을 바라보는 아이들
언덕 바위 위에 올라선 아이들이 미군의 LST 수송선이 있는 해안가 쪽을 바라보고 있다.
광복~1950년대 /
1952-53.
언덕바위 앞 초도의 여자아이들
해안가 인근의 언덕 바위 앞에서 여자 아이들이 카메라를 보며 웃고 있다.
광복~1950년대 /
1952-53.
군용트럭과 지게꾼
미군의 군용 트럭 옆으로 지게를 진 마을 주민이 지나가고 있다.
광복~1950년대 /
1952-53.
쌀 포대를 이고 가는 마을 여성들
두 명의 여성이 미군으로부터 받은 쌀 포대를 머리에 지고 가고 있다.
광복~1950년대 /
1952-53.
초도 해안에 접근하는 어선
초도(椒島)의 해안가로 어선이 들어서고 있다.
광복~1950년대 /
1952-53.
찬송가를 부르는 남성 신도들
초도(椒島) 국민학교에서 열린 초도 장로교회의 주일 예배날 남성 신도들이 찬송가를 부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