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점기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복지회관 및 자료관 전경 합천원폭피해자복지회관 및 자료관의 전경이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전경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전경이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정면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정면으로 원폭피해자복지회관은 중앙의 원형 건물을 중심으로 'ㄱ'자형으로 되어 있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우측 건물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우측 건물인데 생활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우측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우측 모습이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은 조적조 건물로 창문 상하에 인방을 두었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입구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입구이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은 원자폭탄 피해자들이 생활 및 치료, 재활을 하는 곳이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간판 원폭피해자복지회관 간판이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은 적십자의 인도주의 정신을 바탕으로 건축되었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1층 로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1층 로비에는 원폭피해자의 웃는 얼굴이 그려져 있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1층 게시판 원폭피해자복지회관 1층 게시판에는 원폭피해자들의 활동과 알림 내용이 게시되어 있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카페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카페이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식당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식당으로 원폭피해자복지회관에서 생활하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것이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응접 공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응접 공간이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데스크 원폭피해자복지회관 데스크이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정보화 코너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정보화 코너로 원폭피해자복지회관에 컴퓨터를 설치하여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독서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독서실인데 원폭피해자복지회관에 다양한 책을 비치하여 독서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였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체력단련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체력단련실로 원폭피해자복지회관에 탁구대와 런닝머신 등을 설치한 체력단련실을 구성하였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2인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2인실인데 2인이 함께 생활하는 공간이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다인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다인실인데 여러 사람이 함께 생활하는 공간이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처치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처치실로 치료 및 처치를 받는 곳이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체력단련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체력단련실이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원폭자료관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원폭자료관이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원폭자료관 정면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원폭자료관 정면이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원폭자료관 측면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원폭자료관 측면으로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원폭자료관 옆에 전시실을 세우고 통로로 연결하였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원폭자료관 간판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원폭자료관 간판이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평화의 불 전경 합천원폭피해자마을 평화의 불 전경으로 평화의불탑과 비문 등이 세워져 있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평화의 비문 합천원폭피해자마을 평화의 비문에는 평화를 기원하는 불을 점화한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평화의 불 합천원폭피해자마을 평화의 불을 점화한 평화불 석등이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추모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추모비인데 한국과 일본의 합작으로 세워졌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으로 원폭피해 사망자를 위한 것이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배면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배면으로 팔작지붕 모양이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현판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현판이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내 현판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내 현판으로 한국 피폭자 영령을 위로하는 글이 걸려 있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위패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위패로 위령각 안에 원폭피해 사망자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위패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위패로 위령각 안의 윤씨, 차씨, 박씨 등의 사망자 위패이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위패 중앙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위패 중앙에는 '한국인 원폭 희생자 신위'라고 쓰여진 큰 신위가 자리하고 있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위패 상단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위패 상단에는 '합천 원폭 희생자 영위'라고 쓰여진 큰 신위가 자리하고 있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공덕비 배면 합천원폭피해자마을 공덕비 배면으로 합천원폭피해자마을에 세운 공덕비의 연원에 대하여 설명하는 글이 새겨져 있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공덕비 측면 합천원폭피해자마을 공덕비 측면으로 합천원폭피해자마을에 세운 공덕비의 연원에 대하여 설명하는 글이 새겨져 있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실외 휴게시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실외 휴게시설로 연못과 벤치를 놓은 휴게 공간이다.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간판 원폭피해자복지회관 간판으로 원폭피해자복지회관으로 들어오는 입구에 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