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다음 디지털자료 다음 현대사 현장

현대사 현장  |  합천원폭피해자마을

목 록

원본이미지 보기 합천원폭피해자마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 촬영연도 2017
  • 자료연대일제강점기(1910~1945)
  • 생산기관대한민국역사박물관
  • 자료주제 합천원폭피해자마을
  • 소개의 글 합천원폭피해자마을은 1945년 일본의 나가사키와 히로미사메 원자폭탄이 투하되었을 때 원폭 피해를 입은 한국인들이 국내로 들어와 합천에서 거주하며 생성된 마을이다. 당시 원폭으로 인해 한국인 중 약 7만 여명이 피해를 본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중 합천 출신이 70% 가량이 된다고 해 합천을 ‘한국의 히로시마’라고 불렀다. 피폭된 후 합천으로 돌아온 피해자에 대한 관심과 대책은 사각지대에 있었고 재한원폭피해자에 대한 공식적인 확인이 이루어진 것은 1973년 합천에 원자폭탄피해자 진료소가 생기면서부터이다. 그 후 원폭복지사업소가 1993년에 개소, 합천원폭피해자복지회관이 1996년 10월에 개관했다. 2011년 8월 한국인 원폭피해자의 실상을 알릴 목적으로 복지회관에서 희생자를 기리는 추모제가 열리기도 했으며, 2017년에는 합천에 국내 첫 원자폭탄자료관을 개관했다.
KEYWORD

일제 강점기



합천원폭피해자복지회관 및 자료관 전경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복지회관 및 자료관 전경 합천원폭피해자복지회관 및 자료관의 전경이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입구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입구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입구이다. 합천원폭피해자마을 복지회관은 1990년 한국과 일본 정부가 한국인 원폭피해자 지원에 합의한 후 기금을 마련하여 세웠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전경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전경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전경이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정면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정면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정면으로 원폭피해자복지회관은 중앙의 원형 건물을 중심으로 'ㄱ'자형으로 되어 있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우측 건물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우측 건물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우측 건물인데 생활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우측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우측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우측 모습이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은 조적조 건물로 창문 상하에 인방을 두었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입구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입구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입구이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은 원자폭탄 피해자들이 생활 및 치료, 재활을 하는 곳이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간판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간판 원폭피해자복지회관 간판이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은 적십자의 인도주의 정신을 바탕으로 건축되었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1층 로비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1층 로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1층 로비에는 원폭피해자의 웃는 얼굴이 그려져 있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1층 게시판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1층 게시판 원폭피해자복지회관 1층 게시판에는 원폭피해자들의 활동과 알림 내용이 게시되어 있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카페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카페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카페이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식당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식당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식당으로 원폭피해자복지회관에서 생활하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것이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응접 공간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응접 공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응접 공간이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데스크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데스크 원폭피해자복지회관 데스크이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정보화 코너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정보화 코너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정보화 코너로 원폭피해자복지회관에 컴퓨터를 설치하여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독서실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독서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독서실인데 원폭피해자복지회관에 다양한 책을 비치하여 독서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였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체력단련실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체력단련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체력단련실로 원폭피해자복지회관에 탁구대와 런닝머신 등을 설치한 체력단련실을 구성하였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2인실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2인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2인실인데 2인이 함께 생활하는 공간이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다인실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다인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다인실인데 여러 사람이 함께 생활하는 공간이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처치실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처치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처치실로 치료 및 처치를 받는 곳이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체력단련실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체력단련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체력단련실이다.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원폭자료관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원폭자료관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원폭자료관이다.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원폭자료관 정면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원폭자료관 정면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원폭자료관 정면이다.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원폭자료관 측면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원폭자료관 측면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원폭자료관 측면으로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원폭자료관 옆에 전시실을 세우고 통로로 연결하였다.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원폭자료관 간판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원폭자료관 간판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원폭자료관 간판이다.

합천원폭피해자마을 평화의 불 전경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평화의 불 전경 합천원폭피해자마을 평화의 불 전경으로 평화의불탑과 비문 등이 세워져 있다.

합천원폭피해자마을 평화의 비문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평화의 비문 합천원폭피해자마을 평화의 비문에는 평화를 기원하는 불을 점화한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

합천원폭피해자마을 평화의 불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평화의 불 합천원폭피해자마을 평화의 불을 점화한 평화불 석등이다.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추모비 안내문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추모비 안내문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추모비 안내문으로 한국의 히로시마로 불리는 합천에 평화를 기원하는 비석을 두기로 했다는 내용이 쓰여있다.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추모비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추모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추모비인데 한국과 일본의 합작으로 세워졌다.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으로 원폭피해 사망자를 위한 것이다.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배면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배면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배면으로 팔작지붕 모양이다.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현판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현판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현판이다.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내 현판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내 현판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내 현판으로 한국 피폭자 영령을 위로하는 글이 걸려 있다.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위패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위패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위패로 위령각 안에 원폭피해 사망자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위패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위패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위패로 위령각 안의 윤씨, 차씨, 박씨 등의 사망자 위패이다.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위패 중앙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위패 중앙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위패 중앙에는 '한국인 원폭 희생자 신위'라고 쓰여진 큰 신위가 자리하고 있다.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위패 상단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위패 상단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위패 상단에는 '합천 원폭 희생자 영위'라고 쓰여진 큰 신위가 자리하고 있다.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안내판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안내판 합천원폭피해자마을 위령각 안내판인데 합천원폭피해자마을에 일본인 다까하시 고오준이 위령각을 세우고 위패를 봉안했다는 내용이 쓰여있다.

합천원폭피해자마을 공덕비 정면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공덕비 정면 합천원폭피해자마을 공덕비 정면으로 일본인 다까하시 고오준 태양회 이사장이 참회의 마음으로 사비를 들여 위령각을 세운 공을 잊지 않기 위해 세운 공덕비이다.

합천원폭피해자마을 공덕비 배면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공덕비 배면 합천원폭피해자마을 공덕비 배면으로 합천원폭피해자마을에 세운 공덕비의 연원에 대하여 설명하는 글이 새겨져 있다.

합천원폭피해자마을 공덕비 측면 광복~1950년대 / 1945년 합천원폭피해자마을 공덕비 측면 합천원폭피해자마을 공덕비 측면으로 합천원폭피해자마을에 세운 공덕비의 연원에 대하여 설명하는 글이 새겨져 있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실외 휴게시설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실외 휴게시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실외 휴게시설로 연못과 벤치를 놓은 휴게 공간이다.

원폭피해자복지회관 간판 광복~1950년대 / 1945년 원폭피해자복지회관 간판 원폭피해자복지회관 간판으로 원폭피해자복지회관으로 들어오는 입구에 서 있다.

카테고리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