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자료 > 현대사 현장총 "2,695건"
2020년대 /
2022.11.8.
청와대 영빈관 입구 기념식수
청와대 영빈관 입구에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과 부인 고(故) 이희호 여사의 기념식수가 심어진 모습이다.
청와대
2020년대 /
2022.11.8.
청와대 본관 1층 세종실 입구 전실 벽면에 걸린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 초상화
청와대 본관 1층 세종실 입구 전실 벽면에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의 초상화가 걸려 있다.
청와대
2020년대 /
2022.11.8.
청와대 본관 1층 세종실 입구 전실 벽면에 걸린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 초상화
청와대 본관 1층 세종실 입구 전실 벽면에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의 초상화가 걸려 있다.
청와대
2020년대 /
2022.11.8.
청와대 본관 1층 세종실 입구 전실 벽면에 걸린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 초상화
청와대 본관 1층 세종실 입구 전실 벽면에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의 초상화가 걸려 있다.
청와대
디지털자료 > 국경일 및 기념일총 "326건"
광복~1950년대 /
1950.6.25.
6·25전쟁 70주년 설치미술 특별전 제막식에 참석한 정세균 국무총리 및 주요 인사
서울특별시 종로구 광화문 북측광장에서 열린 6·25전쟁 70주년 설치미술 특별전 제막식에 참석한 정세균 국무총리, 김은기 6·25전쟁 70주년 사업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 박삼득 국가보훈처장, 반기문 전(前) 유엔사무총장, 정경두 국방부장관, 이정옥 여성가족부장관 및 주한외교사절이 전통의장대의 의전을 받으며 입장하고 있다.
6·25전쟁 70주년 설치미술 특별전 제막식
광복~1950년대 /
1950.6.25.
6·25전쟁 70주년 설치미술 특별전 제막식에 참석한 정세균 국무총리 및 주요 인사
서울특별시 종로구 광화문 북측광장에서 열린 6·25전쟁 70주년 설치미술 특별전 제막식에 참석한 정세균 국무총리, 김은기 6·25전쟁 70주년 사업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 박삼득 국가보훈처장, 반기문 전(前) 유엔사무총장, 정경두 국방부장관이 입장하고 있다.
6·25전쟁 70주년 설치미술 특별전 제막식
광복~1950년대 /
1950.6.25.
6·25전쟁 70주년 설치미술 특별전 제막식에 참석한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
서울특별시 종로구 광화문 북측광장에서 열린 6·25전쟁 70주년 설치미술 특별전 제막식에 참석한 반기문 전(前) 유엔사무총장, 정세균 국무총리, 정경두 국방부장관, 강경화 외교부장관이 입장하고 있다.
6·25전쟁 70주년 설치미술 특별전 제막식
광복~1950년대 /
1950.6.25.
6·25전쟁 70주년 설치미술 특별전 제막식에 참석한 강경화 외교부장관
서울특별시 종로구 광화문 북측광장에서 열린 6·25전쟁 70주년 설치미술 특별전 제막식에 참석한 강경화 외교부장관, 정경두 국방부장관, 이정옥 여성가족부장관이 입장하고 있다.
6·25전쟁 70주년 설치미술 특별전 제막식
디지털자료 > 현대사 이슈총 "7,197건"
2020년대 /
2022.10.27.
윤석열 대통령 탄핵 요구 대자보
서울특별시 관악구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학내 게시판에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을 요구하는 내용이 적힌 재학생의 대자보가 부착되어 있다. 윤석열 대통령 풍자 카툰 '윤석열차'에 대한 문화체육관광부의 경고와 표현의 자유에 대한 억압을 비판하고 있다.
서울 소재 대학교 대자보 기록
2020년대 /
2022.10.27.
'문재인 대통령도 종북 주사파인가' 대자보
서울특별시 관악구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학내 게시판에 문재인 전 대통령과 민주당의 이념을 비판하는 내용이 적힌 서울대 트루스포럼의 대자보가 부착되어 있다. 학내 윤석열 대통령 탄핵 촉구 대자보를 비판하고 있다.
서울 소재 대학교 대자보 기록
2020년대 /
2022.10.27.
'대통령 윤석열을 탄핵하라' 대자보
서울특별시 관악구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학내 게시판에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을 요구하는 내용이 적힌 대자보가 부착되어 있다. 윤석열 정부의 대통령 집무실 이전, 언론보도 억압, 표현의 자유 억압 등을 비판하고 있다.
서울 소재 대학교 대자보 기록
2020년대 /
2022.10.27.
시진핑 자료실 폐쇄 촉구 대자보
서울특별시 관악구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학내 게시판에 시진핑 자료실 폐쇄를 촉구하는 내용이 적힌 서울대 트루스포럼의 대자보가 부착되어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중국공산당을 비판하고 있다.
서울 소재 대학교 대자보 기록
디지털자료 > 디지털 역사총 "10,149건"
1980년대 /
1980년대.
김영삼 총재 모친 묘소 방문
김영삼 신민당 총재가 당원들과 모친 박부련 여사의 묘소를 방문한 모습이다.
2019 김영삼민주센터 소장자료
1980년대 /
1980년대.
김영삼 총재
김영삼 신민당 총재가 당사에서 당원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2019 김영삼민주센터 소장자료
1980년대 /
1980년대.
김영삼 총재 모친 묘소 방문
김영삼 신민당 총재가 당원들과 모친 박부련 여사의 묘소를 방문하여 묘비를 살펴보고 있다.
2019 김영삼민주센터 소장자료
1980년대 /
1980년대.
김영삼 총재 연설
김영삼 신민당 총재가 연설하고 있는 모습이다. 김명윤 의원이 배석하였다.
2019 김영삼민주센터 소장자료
박물관 활동기록 > 전시총 "1,950건"
2020년대 /
2021
광화문 특별전 파사드
광화문 특별전 파사드의 모습이다.
공간으로 보는 한국현대사, 광화문
2020년대 /
2021
프롤로그 광화문 스케치
프롤로그 공간 '광화문 스케치' 전경이다.
공간으로 보는 한국현대사, 광화문
2020년대 /
2021
1부 다시 찾은 광화문
1부 다시 찾은 광화문 공간 모습이다.
공간으로 보는 한국현대사, 광화문
2020년대 /
2021
1부 다시 찾은 광화문
1부 다시 찾은 광화문 공간 모습이다.
공간으로 보는 한국현대사, 광화문
박물관 활동기록 > 행사·홍보총 "221건"
2020년대 /
2023.6.25.
윤석열 대통령 한미동맹 70주년 특별전 기념 인사말
2023년 6월 25일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열린 '한미동맹 70주년 특별전' 기념행사에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이 인사말을 전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인사말을 통해 6·25전쟁 발발 후 73년이 지난 현재 자유를 지키기 위해 공헌한 이들을 기억하고, 미래세대가 이끌 한미동맹의 가치와 의미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전달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윤석열 대통령 한미동맹 70주년 특별전 관람
2020년대 /
2023.6.25.
야외계단으로 입장하는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야외 계단을 통해 박물관 행사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앞서 윤 대통령 내외는 박물관 1층 로비에서 ‘숫자로 보는 한미동맹’ 전시를 관람하였다.
윤석열 대통령 한미동맹 70주년 특별전 관람
2020년대 /
2023.6.25.
한수 관장의 안내를 받아 입장하는 윤석열 대통령 내외
윤석열 대통령 내외와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한수 대한민국역사박물관장의 안내를 받으며 행사장으로 입장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한미동맹 70주년 특별전 관람
2020년대 /
2023.6.25.
인요한 소장과 인사를 나누는 윤석열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이 인요한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 소장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이날 한미동맹 70주년을 기념하여 열린 특별전 행사에서 고(故) 백선엽 장군과 김동석 대령의 후손인 백남희 여사, 김미령(가수 진미령) 여사 등 참전용사 후손들이 참석하여 자리를 함께 하였다.
윤석열 대통령 한미동맹 70주년 특별전 관람
박물관 활동기록 > 연구·교육총 "204건"
1970년대 /
1970년대.
'경제개발과 유신체제' 강의
연세대학교 이기훈 교수가 '경제개발과 유신체제'에 대해 연수 참가자들에게 강의하고 있다.
2022 겨울방학 교원연수
2020년대 /
2022.1.21.
광화문 특별전 전시 관람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김권정 학예연구사가 연수 참여자들에게 광화문 특별전 전시 해설을 하고 있다.
2022 겨울방학 교원연수
1970년대 /
1970년대.
'구호의 시대, 1970년대 한국의 사회문화' 강의
한국학중앙연구원 김경일 교수가 '구호의 시대, 1970년대 한국의 사회문화'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
2022 겨울방학 교원연수
1960년대 /
1960년대.
'박물관에서 만나는 교과서 속 역사자료 읽기; 유신체제' 강의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홍종욱 교수가 '박물관에서 만나는 교과서 속 역사자료 읽기: 유신체제'를 주제로 강의하고 있다.
2022 겨울방학 교원연수
박물관 활동기록 > 교육영상총 "23건"
개항~대한제국(1910) /
1876~1910
개항, 세계와 소통하다 국문(5분)
개항은 우리에게 위기이자 기회였다. 정부의 근대화 정책이 성공하지는 못했지만, 새로운 생각을 가진 개인의 출현은 현대 한국사회의 초석이 되었다.
개항, 세계와 소통하다
개항~대한제국(1910) /
1876~1910
opening of port, communicating with the World(5min)
개항은 우리에게 위기이자 기회였다. 정부의 근대화 정책이 성공하지는 못했지만, 새로운 생각을 가진 개인의 출현은 현대 한국사회의 초석이 되었다.
개항, 세계와 소통하다
개항~대한제국(1910) /
1876~1910
개항, 세계와 소통하다 국문(30분)
개항은 우리에게 위기이자 기회였다. 정부의 근대화 정책이 성공하지는 못했지만, 새로운 생각을 가진 개인의 출현은 현대 한국사회의 초석이 되었다.
개항, 세계와 소통하다
개항~대한제국(1910) /
1876~1910
opening of port, communicating with the World(30min)
개항은 우리에게 위기이자 기회였다. 정부의 근대화 정책이 성공하지는 못했지만, 새로운 생각을 가진 개인의 출현은 현대 한국사회의 초석이 되었다.
개항, 세계와 소통하다
박물관 활동기록 > 영상자료총 "906건"
1980년대 /
1980년대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과 대북협상 (1)
북방정책과 남북관계에 있어서 전두환 정부의 역할과 88계획, 1985년 남북정상회담 무산 등에 대해 구술한 영상이다.
현대사증언(박철언)
1980년대 /
1980년대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과 대북협상 (2)
노태우 정부의 대북정책이 전향적으로 발표될 수 있었던 동력에 대해 구술한 영상이다.
현대사증언(박철언)
1980년대 /
1989~1990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과 대북협상 (3)
1989년 금강산관광 추진 당시 여건과 불발하게 된 이유와 남북관계에서 민간교류 위법성 논란 등에 대해 구술한 영상이다.
현대사증언(박철언)
1990년대 /
1990~1992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과 대북협상 (4)
북방정책에서 한소 정상회담 및 대소경협차관에 대한 평가와 한중수교문제 등에 관해 구술한 영상이다.
현대사증언(박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