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자료 현대사 현장 전체 서울 (163) 경기/인천 (63) 강원도 (57) 충청남도 (50) 충청북도 (27) 전라북도 (38) 경상북도 (58) 전라남도 (70) 경상남도 (76) 제주도 (37) 서울163 경기/인천63 강원도57 충청남도50 충청북도27 전라북도38 경상북도58 전라남도70 경상남도76 제주도37 총 "27건" 20개씩 보기 50개씩 보기 100개씩 보기 일제강점기(1910~1945) 추풍령역 급수탑 급수탑은 증기 기관차의 운행에 필수적인 물을 공급하는 시설이며 현재 전국에 22개의 급수탑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 중 9개가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추풍령역 급수탑은 1939년 경부선 노선에 운행하던 증기 기관차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현재 남아 있는 철도 급수탑은 대부분 원통형인데 비해 추풍령역 급수탑은 유일하게 평면이 사각형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다른 급수탑과 같이 기단부, 기계실, 물통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계실 내부에는 펌프가 있으며 이를 통해 증기 기관차에 물을 공급하였다. 일반적으로 급수탑 주위에는 물을 끌어 들일 수 있는 저수조 또는 연못이 함께 위치하고 있는데 추풍령역 급수탑은 연못에서 물을 공급받았으며 현재에도 연못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현재 급수탑 주변은 추풍령역 급수탑 공원으로 만들어져 있다. 급수탑 인근에는 경부선 추풍령역이 경부선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1905년 1월 1일에 경부선 노선을 건설하여 운영할 때부터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한 추풍령역은 2003년 구 역사를 철거하고 그 자리에 공원을 조성하였으며 따로 신 역사를 건립하여 현재 무궁화호가 1일 5회 운영되고 있다. 현재 남아 있는 22개 급수탑은 대부분 원통형이 많지만 추풍령역 급수탑은 사면이 각을 이루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는 점이 특징적이며 희소성의 가치가 높아 2003년 1월 28일 등록문화재 제47호로 지정되었다. 2010년대 국립현대미술관 청주 국립현대미술관 청주는 청주시의 옛 담배 공장이었던 연초제조창 건물을 리모델링해 2018년 12월에 개관한 국립현대미술관의 네 번째 분관이다. 청주 연초제조창은 1946년에 건립되어 2004년까지 운영되었으나 이후 담배 생산의 감소로 인해 폐산업 시설로 방치되고 있었다. 청주관은 연면적 1만 9,855㎡, 지상 5층 규모의 건물로 수장고 10곳, 보존처리 공간 15곳, 기획전시 공간 1곳, 교육 공간 2곳, 라키비움 및 관람객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미술관 1층부터 3층은 보이는 수장고를 운영해 관람객들이 유리창을 통해 김환기, 이중섭, 이응노 등 국내 미술가의 대표 소장품의 수장 및 보존 상태를 관찰할 수 있게 하였다. 더불어 3층에는 유화작품 보존처리실과 유기 및 무기 분석실 등 3개실이 관람객에게 개방되어 실제 보존처리 및 분석 현장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4층은 특별전시관, 5층은 기획전시관이 있다. 청주관은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의 첫 국립현대미술관이며 국내 최초의 수장형 미술관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1970년대 청주국제공항 청주국제공항은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에 위치한 충청도 중부권의 거점 공항이다. 1984년 10월 청주국제공항 건설에 대한 기본 계획이 수립되었고, 1990년 8월에 공항의 입지를 현재의 위치로 결정했다. 1992년 3월 착공해 1996년 12월 20일 준공했으며, 준공 당시 청주국제공항의 기능은 중부권 거점 공항으로 유사시 수도권 대체 공항, 그리고 국제 화물 공항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되었다. 한국공항공사 청주지사가 1997년 1월 27일에 공항 업무를 개시하였고 4월 28일에 청주국제공항으로 공식 개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개항 직후 37만 명에 불과했던 한 해 이용객이 2018년 말 기준 245만 명으로 증가했다. 총 운항 횟수는 1만 5,683회, 운송화물은 1만 7,986톤을 운송하고 있다. 노선은 국내선 1개, 국제선은 정기 노선 3개국, 비정기 노선 3개국으로 총 6개국의 15개 도시로 노선이 개설되어 있으며 총 9개 운항업체가 사업 활동을 영위하고 있다. 1970년대 소백산천문대 1978년 소백산 연화봉에 세워진 소백산천문대는 61cm 반사망원경을 보유한 곳으로 한국 현대천문학의 시초가 된 곳이다. 1974년 국립천문대가 대통령령으로 설립되었고 1978년에 국립천문대의 단위 부서로 소백산천체관측소가 준공되었다. 1986년에 국립천문대가 한국전자통신연구소 부설 천문우주과학연구소(현 한국천문연구원)로 변경됨에 따라 소백산천문대로 개칭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소백산천문대는 현재 교육관과 연구동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시민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견학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소백산천문대를 상징하는 시설인 첨성대 모양의 구 관측소(일명 소백산첨성대)도 원형대로 잘 보존되어 있다. 소백산천문대는 국내에서 최초로 현대식 망원경을 설치한 천문대로서 다양한 교육과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천문과학의 대중화에 기여하고 있다. 일제강점기(1910~1945) 구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 구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은 1906년 7월 내륙 지방 관찰부 소재지에 본점을 둔 지방은행으로 충주농공은행에서 출발했다. 탁지부령에 따라 1907년 6월 주식회사 한호농공은행 충주지점으로, 1918년에는 6개의 농공은행이 합병한 조선식산은행의 충주지점으로 개칭되었다. 현재의 구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은 1933년 12월에 본관 63평, 부속건물 34평 규모로 신축된 것으로 추정된다. 내부는 목구조, 외관은 서양식 석조 건물로 1930년대에 국내에 도입되기 시작한 모더니즘적 요소를 건축물 일부에서 확인 할 수 있다. 광복 이후에도 한일은행 충주지점 등 금융시설로 사용되다가 1981년에 민간에 매각되어 가구점 등으로 사용되었다. 2015년 구도심 재생 사업의 일환으로 충주시에 매입된 이후 근대문화역사관으로 활용될 계획이었으나 현재 보류 중에 있다. 구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은 일제강점기의 대표적인 은행건축 기법과 양식을 보여주는 건축물로 2017년 5월 29일 등록문화재 제683호로 지정되었다. 광복~1950년대 무극전적지 무극리 전투는 1950년 7월 4일∼10일 사이에 국군 제6사단과 제1사단이 차령산맥의 긴 통로역할을 하는 음성군 부근에서 북한군 제15사단의 남진을 저지하여 큰 전과를 올린 전투이다. 음성 무극리 지역은 경기도와 충청북도와의 도 경계를 나누는 차령산맥의 중심부에 형성된 분지로 지리적으로나 교통상의 요충이었기 때문에 피아 쟁탈의 각축장이 되었다. 최초 국군 제6사단 제7연대는 7월 4일 북한군 제15사단 선두부대가 장호원에서 무극리, 생극리까지 진출하자 다음날 아침 제1대대를 무극리, 제3대대를 생극리로 투입하여 북한군의 남진을 저지하게 했다. 5일 쌍방은 기름고개와 동락리에서 조우하여 교착 상태에 있다가 다음날 북한군을 제압하여 무극리를 점령하였으나 곧바로 강력한 화력지원을 동반한 적의 반격을 받아 백야리로 물러났다. 7일 아침 제7연대 제1대대가 무극리 남쪽 기름고개에서 북한군 제49연대의 남진을 성공적으로 저지하였으며, 같은 시각 동락리에서는 제2대대가 북한군 제48연대를 기습하여 개전이후 가장 큰 전과를 올린 승전이었다. 특히 동락리 전투에서는 적에게 치명적인 타격을 입혀 군수참모를 포함한 132명을 포로로 잡고 각종 포 54문, 차량 75대 등을 장비를 노획하였고, 이 전공으로 제7연대는 전 장병 1계급 특진의 포상을 받았다. 다음날 7월 8일 음성에 도착한 국군 제1사단이 제6사단의 방어지역을 인수받았다. 사단은 당일 저녁 적 제49연대의 행군대열이 방어정면으로 접근하자 즉시 포격의 지원 하에 사격을 집중하여 적의 남진을 분산시켰다. 다음날에도 적은 남진을 시도하였으나 아군의 방어력에 밀려 더 이상 진출하지 못하였다. 이 전투에서도 적은 100여 명의 손실을 입고 많은 장비를 상실하였다. 국군은 전선정리를 위해 10일 음성에서 철수하여 7월 13일부터 광원에 새로운 저지선을 형성하였다. 북한군 제15사단은 국군 제1사단의 완강한 방어와 미 공군의 공중폭격에 부딪쳐 더 나가기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고 사단과의 접촉을 끊고 동쪽방향의 산간로를 따라 그 진로를 개척하려 하였다. 음성 무극 전투는 우리 군이 6·25전쟁 발발 이후 주목할 만한 승전보를 올렸으며, 후퇴를 계속하던 군에 용기를 심어주고 사기를 높이게 되었다. 또 노획한 장비 중에는 ‘소련제’라는 표기가 있어 소련이 전쟁에 개입했다는 증거를 확보했다. 이 장비를 유엔에 보내 소련의 개입을 확인함으로써 유엔군 참전의 계기를 마련하기도 하였다. 광복~1950년대 괴산댐 괴산댐은 소계곡 발전소 건설 계획에 따라 칠성면 사은리 달천강에 건설된 수력발전소이다. 정부는 6․25전쟁으로 파괴된 전력 시설을 복구하고 자주적으로 전력을 확보하기 위해 1951년부터 소계곡 전원개발 계획을 추진하였다. 이를 위해 정부는 소계곡 발전소 건설 지점을 현지 답사한 결과를 토대로 괴산군수 조삼선(趙三善) 등의 건의에 따라, 충북 괴산군 칠성면 사은리에 발전소를 짓기로 결정하였다. 규모는 1,600kw 수력발전소였다. 그에 따라 조선전업주식회사(현 한국전력공사)가 1952년 11월부터 공사를 시작하였으나, 곧바로 재정난과 기술인력의 한계에 부딪혀 계획대로 공사를 추진할 수 없었다. 1953년 2월 화폐 개혁으로 공사 자금이 동결되고 국회에서도 예산을 부결하여 공사가 중단될 수밖에 없었다. 1953년 7월 공사는 재개되어 가설공사와 댐 기초 굴착에 착수하였으나, 그해 12월 자금난으로 공정의 28%가 진행된 상황에서 또다시 공사가 중단되었다. 1954년 5월에 공사가 다시 착공되었으나, 또다시 자금난과 시멘트 부족으로 2개월 만에 공사가 다시 중단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그 이후 설계 변경과 예산 부족, 물가 상승에 따른 공사비 증가 등으로 모두 다섯 차례에 걸친 예산 변경 끝에 총 15억 3천만원이 투자되었다. 공사기간도 당초 18개월에서 4년 4개월로 지연되는 등 우여곡절 끝에 1957년 2월 28일 준공되어, 4월 28일 준공식을 갖게 되었다. 준공 기념으로 쓴 이승만 전 대통령의 친필 휘호 ‘칠성언제(七星堰堤)’가 댐에 새겨져 있다. 4년에 걸친 공사 끝에 준공된 괴산수력발전소는 암반이 단단한 남한강 지류 달천강을 가로지르는 중력식 콘크리트댐 발전소로, 설비용량은 2,600㎾이며, 높이 28m, 길이 171m이고, 댐 좌안 직하부에 설비용량 1,300㎾의 카플란 수차발전기 2대를 설치했다. 칠성호로 부르는 저수지는 만수위 높이 135.65m로 2m 여유를 두고 있으며, 저수용량 1,500만㎥, 유역면적 671㎢이다. 1980년 7월 22일 중부지방을 강타한 태풍 및 호우로 댐의 물이 넘쳐흘러 발전소가 물에 잠기는 등 발전설비가 크게 피해를 보았다. 9개월에 걸친 개보수공사를 통해 1981년 5월 7일 현재와 같은 새로운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현재 연간 1,080만㎾/h의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1980년대 청남대 청남대는 대청댐 부근에 1983년 12월 27일 건축된 대통령 전용별장이다. 1980년 전두환 대통령이 대청댐의 준공식에 참석했을 때 주변 경관을 보고 감탄하면서 ‘이런 곳에 별장이 있으면 좋겠다’라고 말한 것이 계기가 되어, 청와대 경호실장에 의해 1983년 6월에 착공하여 그 해 12월에 완공되었다. 준공 당시 면적은 1,844,843㎡의 규모였다. ‘봄을 맞이하듯 손님을 맞이한다’는 영빈관 의미로 영춘재(迎春齋)라 하였으나, 1986년 7월 전두환 대통령의 지시로 청와대 남쪽에 있다는 의미로 청남대로 이름을 바꾸었다. 청남대는 전두환 대통령부터 노무현 대통령에 이르기까지, 여름휴가나 명절휴가를 비롯해서 매년 4∼5회, 많게는 7∼8회씩 사용하여 20년간 총 89회 472일을 이용하였다. 대통령 별장이 만들어진 것은 이승만대통령 때부터였으며 김해, 화진포 등을 비롯해 4군데 있었으나, 김영삼 대통령에 이르러 모두 폐쇄하고 청남대만 남겨두었다. 청남대는 역대 대통령이 정국 구상을 하고 국빈을 맞이하기도 하였으나, 대통령 외에 어떠한 민간인도 이용할 수 없었다. 또한 국가 1급 경호시설로 청와대에서 직접 관리를 했었고 4중의 경계철책을 둘렀으며 경호실 338경비대가 경비를 수행하여 민간인의 접근을 철저히 통제하였다. 그 때문에 ‘권부의 아방궁’이란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노무현 대통령은 ‘권위주의 상징인 청남대를 주민에게 돌려주겠다’는 선거 공약을 이행하여, 2003년 4월 18일 청남대 소유권을 충청북도에 이양하였다. 충청북도는 곧바로 청남대를 민간에 개방하여 충청북도 청주시의 대표적인 관광지로 변모하였다. 충청북도는 청남대를 관광명소로 만들기 위해 2007년에 대통령역사문화관을 개관하였고, 하늘정원, 호반산책로, 음악분수, 습지생태원 등을 조성하였다. 그 이후에도 역대 대통령길, 대통령 기념관, 대통령 동상 등 대통령을 주제로 한 관람시설을 확대하고 매년 봄 축제인 영춘제를 비롯한 여러 문화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그 결과 청남대를 방문한 관람객이 2010년에 500만 명에 이르렀고, 2017년 2월 17일 1천만 명을 넘어섰다. 1970년대 경부고속도로 순직자 위령탑 경부고속도로 금강휴게소 건너편에 위치한 경부고속도로 순직자 위령탑은 1968년부터 1970년까지 진행된 경부고속도로 건설 도중 불의의 사고로 순직한 이들의 넋을 기리기 위해 세운 위령탑이다. 경부고속도로 건설에 대하여 1967년 4월 29일 박정희 대통령이 건설 구상을 발표함에 따라 12월 15일에 국가기간 고속도로 건설계획 조사단을 설치하였다. 경부고속도로는 1968년 2월 서울∼수원 구간을 시작으로 총 7개 구간으로 나뉘어 건설되었는데, 1970년 7월 7일 대전∼대구 구간을 마지막으로 428㎞에 이르는 전구간이 개통되었다. 경부고속도로 건설에 참여한 업체는 모두 16개 건설업체와 3개 군 공병단이 담당하였으며, 동원된 인원은 892만 8천 명에 이르렀다. 공사비는 총 429억7천3백만원이 소요되었다. 한강, 금강, 낙동강의 3대강을 건너고 추풍령을 뚫고 놓여진 428km의 경부고속도로는 폭 22.4m의 4차선으로 축조되었으며 그 가운데 낙동강교를 비롯한 29개소의 장대교, 당재터널을 비롯한 6개소의 터널이 있다. 경부고속도가 개통됨으로써 전국이 일일 생활권으로 묶였고 지역 격차의 해소에 기여하였다. 경부고속도로 건설 당시 우리나라 토목공사 기술이 부족하여 많은 우여곡절을 겪었으며, 그 과정에서 불의의 사고로 순직한 사람이 77명이나 되었다. 이에 그들을 위한 위령탑을 마지막 건설구간이자 휴게소가 있어 접근성이 좋은 금강휴게소 옆에 건립하였다. 원래 위치는 현 위치보다 50m 아래에 있었으나, 금강휴게소와 위령탑 주변 선형개량공사로 인하여 2003년도에 현재 위치로 이전하였다. 한국도로공사는 매년 7월 7일 유족과 함께 위령제 행사를 거행하고 있다. 1960년대 한일시멘트 단양공장 한일시멘트 단양공장은 1964년 6월에 준공된 한국 대표 시멘트 회사이다. 1960년대에 들어와 시멘트 수요가 증가되자, 1961년 12월 설립된 시멘트회사가 한일시멘트이다. 한일시멘트는 매년 증가하는 시멘트 수요에 따라 1964년 6월 석회암지대인 단양에 시멘트공장을 설립 준공하였다. 시멘트는 석회석이 주원료인데 단양지역은 석회암지대로서 한 때는 전국 시멘트의 약 60%가 생산되는 지역이었다. 한일시멘트 단양공장은 연산(年産) 40만톤 규모의 한국 최대 시멘트공장으로, 1967년 6월에는 1∼2호 킬른(시멘트 공업 등에서 원료를 소성하는데 사용하는 가마) 공사가 완공되어 생산능력이 연산 50만톤으로 확대되고 1969년 10월에는 증설공사 준공으로 연산 100만톤 규모로 발전하였다. 한일시멘트 단양공장은 1976년 11월 연산 210만톤 규모로 증설될 정도로, 1960∼70년대 한국 근대화·산업화 과정에서 폭발적으로 증가된 시멘트 수요를 공급하였다. 그 이후에도 수 차례 생산규모가 확대되어 1990년 연산 450만톤, 1996년 연산 710만톤에 이르렀다. 한일시멘트 단양공장은 1960년대 이후 전국에 시멘트를 확대 공급하여 경제 발전의 원동력을 제공하였다. 1960년대 이후 경제개발5개년 계획에 따른 산업용 시멘트, 1970년대 새마을운동 추진과정에서 필요하였던 막대한 양의 시멘트 등이 한일시멘트 단양공장에서 조달되었을 정도로, 한일시멘트 단양공장은 대한민국의 놀라운 경제 성장을 뒷받침한 물적 자산이자 유산이다. 광복~1950년대 노근리평화공원 노근리평화공원은 6.25전쟁기 희생된 노근리 양민과 그 유족들의 명예를 회복하고 인권 존중과 평화를 수호하는 산교육장으로 조성된 평화공원이다. 2007년 노근리사건 특별법이 개정되면서 제1조에 의거하여 제3조 제3항에 제시된 위령탑 건립 등 위령사업의 일환으로 2008년에서부터 2012년까지 노근리 사건의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하여 191억원을 투입해 연면적 132.240㎡의 노근리 평화공원이 조성되었다. 잊혀진 우리 근대사의 역사 진실을 정당하게 재평가하고 올바르게 기억하여 국민에게 바르게 알리는 동시에, 인권 및 세계 평화에 기여할 수 있는 산 역사 교육장으로 활용할 목적이었다. 아울러 지역의 상징성을 부각하고 지역주민의 삶의 질 개선에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하였다. 주요 시설은 역사 교훈의 마당으로 기억의 길, 전망대, 탐방로, 만남의 광장이 조성되었고, 추념 및 추모의 마당으로 위령탑, 참배광장, 평화기념관, 조각공원, 방문자센터 등이 평화공원 중앙에 위치해 있으며, 평화문화의 마당으로 교육관과 평화기원마당, 야외무대, 평화광장 등이 들어서 있다. 노근리 평화공원의 중심 공간인 위령탑은 노근리에서 희생된 영령들의 넋을 기리고 영동군의 상징성을 부각시키되, 공공성과 예술성을 살려 위패 봉안시설을 갖춘 탑으로 조성하였다. 그리고 평화기념관은 주제성을 부각시켜 복합건물로 건축되었는데, 상설 전시실(1층)과 영상실(지하 1층) 등을 갖추고 있다. 노근리 평화공원은 2013년부터 노근리국제평화재단이 위탁을 받아 운영하고 있다. 노근리국제평화재단은 2010년 노근리사건 유족과 언론·문화계 인사 등으로 구성된 인권 평화단체로, 재단 출범 이전인 2008년에 노근리평화상을 제정하였다. 노근리 평화공원에서는 1999년부터 매년 7월 노근리 사건의 희생자 넋을 기리는 합동위령제가 위령탑에서 열리고 있다. 또한 노근리국제평화재단에서는 인권 존중과 세계 평화에 기여하고자 2008년부터 노근리 세계대학생 평화아카데미를 개최하고, 2015년부터는 매년 노근리 평화 휘호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그밖에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어린이 역사캠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노근리 청소년 평화인권토론 한마당’ 등을 개최하는 등 노근리평화공원을 인권과 평화교육의 산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일제강점기(1910~1945) 노근리쌍굴다리 노근리 쌍굴다리는 6․25 전쟁 당시 ‘노근리사건’으로 알려진 양민학살사건의 현장이다. 노근리 쌍굴다리는 충북 영동군 황간면 노근리(서울 기점 225km)와 영동읍 주곡리를 연결하기 위하여 1934년에 개근천(愷勤川) 위에 축조한 아치형 쌍굴 교각으로, 전체 길이 24.5m, 높이 12.25m, 연면적 512.83㎡의 철근콘크리트조 교량이다. 내부 높이는 10.35m, 폭은 6.75m, 두께는 1.9m이다. 6.25전쟁 당시 이곳에서 미군에 의해 많은 피난민들이 피살되었다. 1950년 6월 25일 남침한 인민군이 파죽지세로 밀고 내려와 청주와 대전이 연이어 함락당하자, 미군은 인민군이 추풍령을 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7월 23-25일에 걸쳐 영동 주곡리와 임계리 주민들을 소개시켰다. 7월 26일 민간 복장으로 위장한 인민군이 피난민 대열에 섞여 있는 것을 의심한 미군 제1기병사단은 7월 26일부터 29일까지 4일 동안 주민과 피난민들을 굴다리 안에 모아 놓고 기관총을 난사하는 동시에 비행기로 공중에서 총을 난사하여, 250∼300명이 피살되었다. 지금도 총탄 흔적이 교각에 그대로 남아 있어 당시의 처참하였던 상황을 그대로 엿볼 수 있다. 노근리사건은 1960년 10월 유족들이 미국정부에 손해 배상을 청구하였으나, 증거 불충분과 시효 만료 등의 이유로 기각되었다. 그 이후에도 유족들이 끊임없이 진상을 규명하고 손해 배상을 청구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던 중, 1999년 미국 AP통신의 보도를 통해 본격적으로 재조명받기 시작하였다. 정부 차원에서도 진상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2001년 1월 12일 한·미공동발표문 및 성명서를 통해서 미국정부는 미군에 의한 양민 학살사건이라는 것을 인정하고 민간인 희생자에 대한 깊은 유감을 표명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노근리 쌍굴다리는 미군에 의한 양민학살의 흔적을 생생히 볼 수 있는 역사 체험의 장으로, 6․25 전쟁의 아픈 상처를 그대로 보여주는 유산이 아닐 수 없다. 이에 보존 가치가 인정되어 2003년 6월 30일 등록문화재 제59호로 등록되어 원형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 사건 현장 남서쪽 100m 지점에는 양민학살의 아픔을 기억하고 평화의 소중함을 알리고자 산 역사교육장으로 ‘노근리평화공원’을 2012년에 조성하였다. 일제강점기(1910~1945) 제천 엽연초 생산조합 구 사옥 제천엽연초생산조합 구 사옥은 일제 강점기 제천엽연초생산조합 사택이었다. 제천지역은 조선 말기 최대의 연초 생산지인 강원도 영월과 황색종 엽연초의 최초 재배지인 충청북도 충주와 인접한 지역으로, 충주의 엽연초 생산이 확대됨에 따라 인접 지역인 제천 또한 연초산업이 일찍 발달하였다. 그 때문에 이른 시기인 1918년 9월 22일 제천 엽연초생산협동조합이 창립되어 제천지역 연초산업의 중심부 역할을 하였다. 일제가 1921년 연초전매령을 시행 공포함에 따라 엽연초 생산조합은 지역에서 전매 제도의 시행과 정착을 위한 보조 기관으로서 역할을 하였다. 제천 엽연초생산협동조합은 주로 제천과 단양지역이 관할지역이었다. 처음에는 영월엽을 재배하다 1941년에 청주엽, 1950년에 황색종으로 연초를 경작하였다. 1961년에는 제천엽연초생산조합으로 개칭하였다. 1970년대에 들어와 연초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급증함에 따라, 1977년에 새로운 사옥을 신축하고 구 사옥은 창고 등으로 사용하였다. 제천 엽연초경작조합 구 사옥은 1935년에 건평 29.25평 규모로 신축된 건물로, 1977년 새 사옥이 지어지기 전까지 사용된 연면적 112.99㎡의 단층 목조 건축물이다. 최고높이는 5,875㎜이다. 신축된 이후 1948년부터 1962년 사이에 사무실을 좌측 방향으로 6평 확장하여 증축하였다. 정면성이 강조된 아치 형상의 현관 출입구가 특징이다. 기본적인 건축구조는 사각 기둥과 보, 왕대공 트러스, 마룻바닥에 의해 구성된 일제 강점기 전형적인 일본식 목조기법이다. 입면 및 형태는 수평선, 수직선, 경사선, 반원형 아치 등 기하학적 구성요소에 의해 단순한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지붕은 원래 검정색 함석이었으나, 1965∼67년경 슬레이트로 교체하였다. 이때 내부 바닥 역시 목조마루에서 현재의 콘크리트 위 시멘트 몰탈 마감으로 교체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내부 평면구조는 단축방향의 칸막이 벽에 의해 사무실과 회의실로 구획된 장방형 평면과 그 정면에 덧붙여진 장방형 전실로 구성되었으나, 전실은 훼손되어 없어졌다. 기초부, 구조부, 내외부 마감 등 전반적인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1977년부터 창고 등으로 사용되다, 우리나라 근대 엽연초산업의 대표적인 목조건축물로 인정받아 2003년 9월 27일 등록문화재 제65호로 지정되었다. 2006년에 보수공사가 이루어졌다. 일제강점기(1910~1945) 제천 엽연초수납취급소 제천 엽연초 수납취급소는 1943년에 신축되어 최근까지도 사용한 연엽초(蓮葉草 ; 잎담배) 하치 및 저장창고로, 연면적 1,044㎡ 규모이다. 제천엽연초생산조합이 창립되자, 경작자로부터 엽연초를 수매하여 저장할 창고가 필요하였고, 그에 따라 1919년 수납장을 건립하고, 1923년과 1925년 연이어 창고 두 개를 신축하였다. 제천지역 연초농업이 크게 확대되자 기존 창고가 낡고 비좁은 데다가 효율적인 수납 업무를 위해, 1942년 9월에 기존 창고를 모두 해체한 뒤 현재의 수납취급소를 1943년에 신축하였다. 신축된 제천엽연초수납취급소는 ‘ㄱ’자형 평면형태의 일본식 단층 목구조 건축물로, 연면적 2,635㎡이다. 기초부는 물론 구조부, 내외부 마감 등 전반적인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벽체는 기존 창고의 목부재를 그대로 활용하여 시멘트블록으로 마감하였다. 각 실들은 작업순서에 따라 서남쪽으로부터 하치장→배열장·경작자대기실·계산실→감정실으로 이어지고, 다시 남동쪽 날개에 현품대조실→ 27개월간 엽연초를 숙성하여 다시 포장하는 갱장장 순으로 기능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감정실에는 엽연초를 실어 나르는 원형레일이 있고, 갱장장 바닥은 물을 담아 놓은 습도 조절장치 등이 있어 엽연초 수납시설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배열장에는 안마당쪽으로 경작자 대기실과 계산실을 부설하였고, 현품대조장에는 경작자 입회장과 반대편에 창고가 배치되어 있는 등 하치에서 갱장에 이르기까지 기능적으로 잘 배치되어 있다. 내부구조도 1943년 신축 당시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감정실을 전후로 한 상부 트러스 구조는 당시의 목조구조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1997년 5월부터 창고로 사용되었다. 전국에 엽연초수납취급소가 600여 개에 있었지만, 대부분 철거되고 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제천엽연초수납취급소가 유일하다. 건립 당시의 목조 트러스 및 볼트가 비교적 원형대로 잘 보존되어 있고 엽연초 수매에서 후숙에 이르는 전 과정의 시설을 원형 그대로 갖추고 있는 등 우리나라 근대 엽연초산업의 대표적인 시설물로 인정받아 2006년 9월 19일 등록문화재 제273호로 지정되었다. 2015년에 문화전시공간과 청년창업지원센터를 만들 계획을 수립하고 자양영당 의병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설계도에 따라 복원하여, 2017년부터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문화예술공간 및 청년창업지원센터로 활용하고 있다. 일제강점기(1910~1945) 진천 덕산양조장 덕산양조장은 1930년에 건립된 양조장으로, 3대째 전통기법으로 전통주를 제조하였다. 일제강점기 때 처음 술도가를 만든 할아버지 이장범과 아버지 이재철에 이어 삼대 이규행이 양조장을 이었다. 그 동안 막걸리의 역사는 부침을 거듭했는데 쌀로된 막걸리를 빗는 것이 금지되었던 시절도 있었고 1980년대 이후에는 맥주와 소주에 밀려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3대에 걸쳐 막걸리 맛을 지켜온 덕산양조장은 만화 〈식객〉, 드라마 등의 소재지가 되기도 하였다. 2003년에 세왕주조로 이름을 바꾼 덕산양조장은 2005년 전통향토기업으로 지정되기도 하였으나 그 후 경영난 등을 이유로 2014년 생산을 중단하였다. 덕산양조장 건물은 양조장 일반의 전형적인 단층 합각지붕 목조건물 1동으로, 연면적 347.1㎡이다. 목수 성조운이 압록강제재소에서 생산한 목재를 사용하여 건립하였으며 상량문에 의하면 1930년에 건축된 것으로 되어 있다. 덕산양조장은 양조장의 특수한 기능을 담당하는 고창과 환기창, 그리고 보온을 위해 왕겨를 채운 두꺼운 이중벽과 천정 등 독특한 기능을 가진 건축물이다. 특히 양조장 건축 당시에 식재된 것으로 보이는 향나무가 양조장 앞에 있으며, 전면부 외관과 내부 가구형식은 잘 보존되어 있다. 1930년대부터 사용한 대형 옹기 술독과 식수를 사용하여 3대에 걸쳐 전통기법으로 전통주를 제조하였으며 양조장 건축물의 가치를 인정받아 2003년 6월 30일 등록문화재 제58호로 지정되었다. 개항~대한제국(1910) 정지용 생가 및 문학관 정지용 생가는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거장인 정지용(1902∼1950) 시인이 태어나고 자란 곳으로, 그의 삶과 문학세계를 보여주기 위해 문학관이 건립되어 있다. 정지용은 옥천군 옥천읍 하계리 40-1번지에서 1902년 5월 15일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낸 뒤, 1910년 9세 때 옥천공립보통학교(현 죽향초등학교)에 다녔다. 17세인 1918년에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 이때부터 문학소년으로 활동하여 1919년 12월에 『서광』 창간호에 소설 「3인」을 발표하였다. 1923년 휘문고보의 교비생으로 일본 교토의 도시샤대학(同志社大學) 영문과에 입학한 뒤부터 본격적으로 시를 쓰기 시작, 1926년 25세 『학조』 창간호에 3편의 시를 발표하면서 문단 활동을 시작하였다. 1929년에 대학을 졸업하고 귀국한 뒤 시문학 동인으로 참가하면서 한국 시단의 중요한 위치에 서게 되었다. 1935년에 첫 시집 『정지용 시집』을 출간하였고 시, 평론, 수필 등을 왕성하게 발표하였다. 광복 이후 휘문중학교 교사직을 사임하고 이화여자대학교 교수직을 역임하는 등 활동하다 6․25 전쟁 때 납북되어 죽음을 맞이하였다. 정지용이 태어나고 자란 생가는 1974년에 허물어지고 다른 집이 지어졌으나, 1996년 7월 30일에 원래 모습대로 복원되었다. 집 형태는 초가삼간으로, 맞은편에는 외양간이 있다. 안방은 약장이 있어 아버지가 한약방을 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정지용 시에 형상화되어 있는 그대로 사립문, 집 마당 한쪽에 위치한 우물, 담 아래 소박한 장독대, 생가 옆을 흐르는 실개천 등을 복원해 놓았다. 정지용의 시 세계는 한국 모더니즘 현대시의 선구자이다. 우리의 언어를 시적으로 형상화하였을 뿐 아니라, 한국의 정서를 가장 잘 표현한 시인이다. 「향수」는 한 폭의 풍경화처럼 한가로운 고향의 정경을 그려낸 시로, 정지용 시인의 대표작이다. 정지용 작품은 월북작가로 분류되어 접근할 수 없었으나, 1988년에 해금되어 다시 빛을 보게 되었다. 이를 기념해 옥천군에서는 1988년부터 매년 지용문학제가 열리고 있으며, 시(市)와 시학사에서는 1989년부터 매년 정지용문학상을 수여하고 있다. 또한 그의 삶과 문학세계를 보여줄 문학관이 생가 옆에 1996년 개관하였다. 일제강점기(1910~1945) 옥천 죽향 초등학교 구 교사 죽향초등학교 구 교사는 일제 강점기에 건축된 학교 건물로서 지방 소규모 목조교사의 대표적 현존 사례이다. 죽향초등학교는 1909년 사립 창명초등학교로 설립된 뒤 한일병합 이후 옥천지역 최초의 공립학교인 옥천보통학교로 전환되었다. 1938년에 다시 옥천제2심상소학교가 되고 1941년에 죽향국민학교로 개명하였다. 1996년에 죽향초등학교로 교명이 바뀐 이후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죽향초등학교는 옥천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로서 많은 지역 인재를 배출하였다. 특히 일제 강점기 대표적인 순수시인이었던 정지용과 박정희대통령 부인 육영수 여사가 죽향초등학교 출신이다. 죽향초등학교 구 교사는 1926년에 신축된 지상 1층 규모의 일본식 목조 함석지붕 건물이다. 1936년에 현 위치에 면적 79.5㎡ 규모로 재건축되었다가 1977년에 237.5㎡, 1985년에 다시 264.46㎡로 증축되었다. 9m×6.3m 규모의 장방형 교실 3칸이 폭 1.8m의 편복도에 면해 일(一)자로 배치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一자형 평면을 구성하고 있다. 교실 천장은 목재 반 자로 마감하였고 복도는 별도의 마감 없이 지붕 골조를 그대로 노출시켜 보다 풍요로운 공간을 연출하였다. 외벽은 목재 비늘판 벽으로 마감하고 함석 박공지붕으로 지붕을 마감하였으나, 1970년대 말 외벽 하부를 비늘판 벽 문양의 시멘트 몰탈 마감으로 변형되었다. 죽향초등학교 구 교사는 1978년에 학교 본관을 신축할 때 철거될 위기를 넘겼으며, 한때 부설 유치원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2007년에 개보수 공사를 거쳐, 1관은 옥천역사관, 2관은 죽향역사관, 3관은 죽향동문관으로 구성된 옥천교육역사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남아 있는 죽향초등학교 구 교사는 우리나라 근대기의 학교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을 뿐 아니라, 정지용 시인과 육영수 여사 등을 비롯한 지역 인재를 많이 배출한 지역 교육사적 의의가 있는 건축물이다. 아울러 근대 옥천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이라는 상징성 등이 인정받아 2003년 6월 30일 등록문화재 제57호로 등록되었다. 광복~1950년대 청주 구 충북산업장려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상당로 92에 위치한 구 충북산업장려관은 1936년에 충청북도의 산업을 장려할 목적으로 충청북도청 옆에 건립한 산업장려관이다. 일제 강점기 일본은 자국의 우월한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박람회를 개최하고 상품 진열관 등을 설치하였다. 산업장려관은 본래 각 도별로 물산진열관이나 상품진열소 등의 명칭으로 설립되었는데, 1930년대 후반에는 산업장려관 또는 상공장려관 등의 이름으로 주로 도청이나 역 주변에 건립되었다. 구 충북산업장려관 역시 본래 명칭은 충북물산진열관이었으나, 1936년에 충북산업장려관으로 변경되었다. 현 충북도청이 준공되기 6개월 전인 1936년 12월 23일 충북도청의 남서측 모서리 사거리 교차로에 현재의 건물이 준공되었다. 구 충북산업장려관 규모는 1동 2층 건물로 건축면적 214.5㎡, 연면적 429.77㎡이다.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 벽체와 목조 트러스(Truss) 지붕으로 구성되었다. 평면은 ‘ㄴ’자형으로, 내부는 끝부분에 계단실과 화장실로 구성된 코어(Core)를 형성하고 나머지는 기둥이나 벽체가 없이 단일 홀 형식의 넓은 공간으로 구성되었다. 남쪽과 서쪽 두 면이 도로에 인접한 부지 특성을 살려 모서리 벽면을 원형 평면으로 처리하여 주 출입구로 삼았다. 주 출입구 위쪽에는 약 1미터 정도 돌출시킨 캐노피(Canopy)를 설치하였고, 2층 역시 다른 창호와는 달리 가로로 긴 창을 돌출시켜 정면임을 알 수 있게 설계되었다. 특히 입면 전체를 기하학적으로 구성하여 돋보이게 하였다. 이것은 근대 초기 모더니즘 건축기법을 도입한 것이다. 광복 이후 미군정기 USOM(United States Operating Mission ; 미국대외원조처) 사무실과 미 공보관으로 사용되었다. 6․25 전쟁 때에는 유엔 군사기구인 UNCACK(United Nations Civil Assistance Corps Korea, 한국민사지원단) 건물로 사용되었다. 그 이후에는 충청북도청 부속건물로서 민원실, 충청북도 지방행정동호회 사무실, 충북경찰청 식당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현재 충청북도 문서고로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 충북산업장려관은 20세기 충북 청주의 근대화 과정을 잘 보여주는 근대 건축물의 하나로서, 2007년 9월 21일 등록문화재 제352호로 지정되었다. 일제강점기(1910~1945) 충청북도지사 구 관사 충청북도지사 구 관사는 1937년 충청북도청 본관 건립에 따라, 그 인근에 충청북도지사가 거처할 사택으로 1939년에 건립되었다. 충청북도지사 관사는 1912년 7월 12일 신축하였으나, 1936년에 충북도청이 현 위치로 이전 신축함에 따라 관사 역시 옮겨 개축하였다. 상량문에 따르면, 상량일은 1939년 6월 22일이고 이동훈 지사 재임기이다. 충청북도지사 관사는 1동 1층, 연면적 341.82㎡이다. 일본 상류층 주택양식을 따랐으나, 전면은 서양식으로 하고 후면은 일본식으로 만들었다. 지붕은 처마 높이가 건축 구획마다 다른 모임지붕 형태로 되어 있다. 내부의 공간구조는 외부 접견실과 주 생활공간을 구분하였다. 접객공간으로 사용된 부분은 서양식 팔라디오(Palladio) 창호를 설치하였고, 생활공간에는 다다미와 미닫이 창호를 설치하였다. 이 관사를 이용한 충청북도지사는 광복 이전 5명, 광복 이후 32대 28명이다. 1969년에 신관이 건축되었기 때문에, 그 이후로는 주로 회의실 용도로 사용되었다. 2007년 9월 21일, 등록문화재 제353호 지정되었다. 33대 이시종 지사 취임 직후인 2010년 9월 6일 충북도민에게 개방하였으며, 2012년부터 충북문화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광복~1950년대 충북도청 충청북도청 본관은 1937년에 신축한 충청북도 청사로, 충청북도 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한 곳이다. 충청북도는 1896년(고종 33년) 지방제도를 정비하면서 탄생하였다. 칙령 제36호로 지방제도관제 개정건을 반포했는데, 전국을 한성부와 13도로 개정하고, 각 지방장관에 관찰사를 임명하였다. 이때 충청도는 양분되어 남북도가 생겼으며 충청북도의 관찰부를 충주에 설치하였다. 그러다 1905년 경부철도 개통으로 조치원역과의 연계를 위해 1908년 6월 5일 기습적으로 청주로 옮겨졌다. 사전 준비 없이 일시에 이전하였기 때문에, 충청북도청은 단독 건물을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청주 관아 및 병영의 건물들을 임시로 이용하였다. 1920년대에 들어와 충북선 개통으로 청주가 빠른 속도로 도시화하자, 충북도청 역시 1924년에 도청 증축계획을 수립하였다. 그러나 이 계획은 추진되지 못하였고, 1928년에 목조 단층건물을 신축하여 본관으로 사용하였다. 1931년에도 도청 신축계획을 수립하였으나 추진되지 않다가, 충남북 합병설에 위기를 느낀 충청북도에서 전격적으로 1937년 6월 현재의 위치에다 큰 논을 메운 뒤 1937년 6월 조적조 2층 건물로 신축 이전하였다. 건물 형태는 당시 관청 건물의 기본 평면이 대부분 그랬듯이 중앙 현관의 포치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의 장방형 건물이며 남향으로 지었다. 현관의 포치는 단순한 사각 형태로 화강석 마감이다. 건물 전면은 당시 유행하였던 갈색 스크래치 타일로 마감되었다. 1945년 광복 이후에도 충청북도청 본관으로 사용하다, 1959년에 3층 함석지붕으로 증축되었다. 충북도청은 본관 외에도 후관 3동, 회의실 등 부속건물이 있었으나 한국전쟁 당시 1951년 북한군 공격으로 전소되어 1955년 전후복구사업에 의해 재건되었다. 이후 수차례에 걸친 신축, 증축, 대수선 등으로, 본관 외에는 대부분이 변형된 상태이다. 충북도청 본관은 일제 강점기 주요 관공서 건물의 일반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기하학적인 입면과 형태를 구성하여 중앙부를 강조한 점 등이 특징적이다. 건립과정과 건물의 형태, 현대적인 건축 이미지 등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3년 6월 30일 등록문화재 제55호로 지정되었다. 12
카테고리 검색 정치행정 정치 법률 행정 사법 외교 군사 통일(안보) 민주화운동 독립운동 식민통치 경제산업 경제 산업 건설(토목) 금융 무역 재정 기업 공산품 노동운동 사회환경 사회 치안 여성 환경 자연 사회운동 환경운동 시민운동 교육과학 교육 학술 역사 과학 기술 의학 통신 교통 문화예술 문화 예술 체육 종교 언론 방송 문학 음악 민속 시대별자료 개항~대한제국(1910) 일제강점기(1910~1945) 광복~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연도미상 형태별자료 이미지 동영상 음원 도서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