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다음 디지털자료 다음 현대사 현장

현대사 현장  |  현대사 사적지 인천

목 록

원본이미지 보기 현대사 사적지 인천
현대사 사적지 인천
  • 촬영연도 2012
  • 자료연대2010년대
  • 생산기관대한민국역사박물관
  • 자료주제 인천광역시 사적지 일대
  • 소개의 글 인천광역시의 현대사 사적지들이다. 개항과 수탈의 진통이 담긴 근대의 기억에서부터, 국가산업단지의 건설 등을 거쳐 현재의 모습으로 발전한 인천의 현대사 현장을 기록하였다.
KEYWORD

인천상륙작전    인천국제공항    연평도    남동국가산업단지    인천항    강화도    인천    개항    도시화    경제개발



강화도 갑곶 선착장 2010년대 / 강화도 갑곶 선착장 1951년 1.4 후퇴를 전후해 강화 향토방위특공대가 강화도 주민들이 조선인민군을 도왔다는 이유로 갑곶나루터와 옥계갯벌에 세워놓고 집단 총살한 강화 양민 학살 사건이 일어난 곳이다.

강화도 갑곶 선착장 2010년대 / 강화도 갑곶 선착장 1951년 1.4 후퇴를 전후해 강화 향토방위특공대가 강화도 주민들이 조선인민군을 도왔다는 이유로 갑곶나루터와 옥계갯벌에 세워놓고 집단 총살한 강화 양민 학살 사건이 일어난 곳이다.

강화역사박물관 2010년대 / 강화역사박물관 강화도 갑곶등대에 있던 역사관을 2010년 10월 23일 강화고인돌공원으로 이전하여 개관하였다.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선사시대에서부터 근현대까지 강화지역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강화역사박물관 내부 2010년대 / 강화역사박물관 내부 강화도 갑곶등대에 있던 역사관을 2010년 10월 23일 강화고인돌공원으로 이전하여 개관하였다.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선사시대에서부터 근현대까지 강화지역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강화온수리성공회성당 사제관 2010년대 / 강화온수리성공회성당 사제관 1906년 영국인 주교에 의해 지어진 성공회 성당 건물이며 한국전통 건축기법에 서양 그리스도교의 교회 양식을 적용한 동서양절충식 한옥목조건물로 한국 초기 기독교 교회 건축양식을 살펴볼 수 있다.

강화온수리성공회성당 2010년대 / 강화온수리성공회성당 1906년 영국인 주교에 의해 지어진 성공회 성당 건물이며 한국전통 건축기법에 서양 그리스도교의 교회 양식을 적용한 동서양절충식 한옥목조건물로 한국 초기 기독교 교회 건축양식을 살펴볼 수 있다.

경인고속도로 2010년대 / 경인고속도로 1968년 준공된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를 연결하는 국내 최초의 고속도로로 두 도시 간의 급증하는 수송 수요를 충족시키고 통행 시간의 단축으로 광역 공업권 형성에 기여하였다.

경인고속도로 2010년대 / 경인고속도로 1968년 준공된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를 연결하는 국내 최초의 고속도로로 두 도시 간의 급증하는 수송 수요를 충족시키고 통행 시간의 단축으로 광역 공업권 형성에 기여하였다.

공화춘 내부 2010년대 / 공화춘 내부 1908년 지어진 중국식 건물로 중국인이 요릿집으로 운영하며 1980년대까지 성업하다가 그 건축사적, 생활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등록문화재 제 246호로 지정되었으며 2012년에는 짜장면 박물관으로 개관하였다.

공화춘 2010년대 / 공화춘 1908년 지어진 중국식 건물로 중국인이 요릿집으로 운영하며 1980년대까지 성업하다가 그 건축사적, 생활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등록문화재 제 246호로 지정되었으며 2012년에는 짜장면 박물관으로 개관하였다.

대한제당 인천제당 공장 2010년대 / 대한제당 인천제당 공장 1956년 설립된 설탕 제조 회사로 대동제당이라는 상호로 출발한 이후 1969년 대한제당으로 사명을 변경해 현재 제당식품, 사료, 축산유통, 바이오사업 등에 주력하고 있다.

구 대성목재 공장 터 2010년대 / 구 대성목재 공장 터 1936년 설립된 조선목재공업을 손병도가 1945년 미군정청으로부터 위임받아 대성목재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이후 대형 합판 목재공장 산업을 이끌어 온 이 기업은 2000년 동화기업에 인수되었다.

구 대성목재 공장 연도미상 / 구 대성목재 공장 1936년 설립된 조선목재공업을 손병도가 1945년 미군정청으로부터 위임받아 대성목재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이후 대형 합판 목재공장 산업을 이끌어 온 이 기업은 2000년 동화기업에 인수되었다.

동일방적 인천공장 2010년대 / 동일방적 인천공장 1955년 동양방적으로 설립돼 1966년 현 동일방직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섬유 및 의류 등을 생산하는 종합섬유업체로 현재 서울 본사를 비롯해 인천, 청주, 장항 국내 3개 공장과 홍콩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동일방적 인천공장 2010년대 / 동일방적 인천공장 1955년 동양방적으로 설립돼 1966년 현 동일방직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섬유 및 의류 등을 생산하는 종합섬유업체로 현재 서울 본사를 비롯해 인천, 청주, 장항 국내 3개 공장과 홍콩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GM대우 부평 공장 2010년대 / GM대우 부평 공장 1962년 정부의 자동차공업 육성정책에 의해 설립된 새나라자동차 공장은 현 GM대우 공장의 전신으로 당시 연 6천여 대의 자동차 생산 설비를 갖춘 국내 최초의 현대식 자동차 공장으로 유명했다.

GM대우 부평 공장 2010년대 / GM대우 부평 공장 1962년 정부의 자동차공업 육성정책에 의해 설립된 새나라자동차 공장은 현 GM대우 공장의 전신으로 당시 연 6천여 대의 자동차 생산 설비를 갖춘 국내 최초의 현대식 자동차 공장으로 유명했다.

구 인천 일본제일은행 지점 2010년대 / 구 인천 일본제일은행 지점 1899년 일본인에 의해 건설된 석조 건물로 모래, 석회, 자갈을 제외한 모든 재료가 일본에서 공수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일본제일은행 인천지점으로 사용되다가 해방 이후 인천 조달청, 법원등기소로 사용되었다.

구 인천 일본제일은행 지점 내부 2010년대 / 구 인천 일본제일은행 지점 내부 1899년 일본인에 의해 건설된 석조 건물로 모래, 석회, 자갈을 제외한 모든 재료가 일본에서 공수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일본제일은행 인천지점으로 사용되다가 해방 이후 인천 조달청, 법원등기소로 사용되었다.

구 제물포구락부 2010년대 / 구 제물포구락부 1901년 인천에 거주하던 미국, 영국, 러시아 등 외국인들의 사교장으로 지어진 건물로 원래 이름은 제물포클럽이지만 1913년 조계 철폐 이후 용도가 여러 번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옛 모습을 복원하여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구 제물포구락부 내부 2010년대 / 구 제물포구락부 내부 1901년 인천에 거주하던 미국, 영국, 러시아 등 외국인들의 사교장으로 지어진 건물로 원래 이름은 제물포클럽이지만 1913년 조계 철폐 이후 용도가 여러 번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옛 모습을 복원하여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남동국가산업단지 2010년대 / 남동국가산업단지 수도권 내 공업지역 재배치를 위해 인천 남동구 일대에 1985년부터 1997년까지 3단계에 걸쳐 조성한 국가산업단지로 조립금속 중심의 업체들이 입주해 있다. 지리적 특성상 중국과의 무역에 용이한 특성이 있다.

남동국가산업단지 2010년대 / 남동국가산업단지 수도권 내 공업지역 재배치를 위해 인천 남동구 일대에 1985년부터 1997년까지 3단계에 걸쳐 조성한 국가산업단지로 조립금속 중심의 업체들이 입주해 있다. 지리적 특성상 중국과의 무역에 용이한 특성이 있다.

답동성당 2010년대 / 답동성당 1886년 한불수호통상조약 이후 1889년 지어진 로마네스크 양식의 성당으로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근대 서양식 건물 중 하나이며 인혁당 사건 구명활동을 펼쳤던 시노트 신부가 보좌신부로 있었던 곳이기도 하다.

답동성당 내부 2010년대 / 답동성당 내부 1886년 한불수호통상조약 이후 1889년 지어진 로마네스크 양식의 성당으로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근대 서양식 건물 중 하나이며 인혁당 사건 구명활동을 펼쳤던 시노트 신부가 보좌신부로 있었던 곳이기도 하다.

대한민국 수준원점 2010년대 / 대한민국 수준원점 1963년 국토의 해발고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점과 수준원점을 조사하고자 인천 앞바다에 설치되어 평균해수면의 높이를 측정하고 있으며 현재 인하공업전문대학 내에 위치하고 있다.

대한민국 수준원점 안내판 2010년대 / 대한민국 수준원점 안내판 1963년 국토의 해발고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점과 수준원점을 조사하고자 인천 앞바다에 설치되어 평균해수면의 높이를 측정하고 있으며 현재 인하공업전문대학 내에 위치하고 있다.

내동성당 2010년대 / 내동성당 중세풍 석조 건물에 전통적인 한국 처마 양식이 어우러진 대한민국 최초의 성공회 성당 건물로 1902년에는 러시아영사관으로 사용되다 1904년부터 성공회 신학원으로 사용되었다.

내동성당 내부 석등 2010년대 / 내동성당 내부 석등 중세풍 석조 건물에 전통적인 한국 처마 양식이 어우러진 대한민국 최초의 성공회 성당 건물로 1902년 러시아영사관으로 사용되다가 1904년부터 성공회 신학원으로 사용되었다.

내동성당 내부 2010년대 / 내동성당 내부 중세풍 석조 건물에 전통적인 한국 처마 양식이 어우러진 대한민국 최초의 성공회 성당 건물로 1902년 러시아영사관으로 사용되다가 1904년부터 성공회 신학원으로 사용되었다.

대한제분 2010년대 / 대한제분 1952년 설립 당시 국내 최대 규모로 준공한 제분시설을 1975년 동양 최대 규모의 제분공장으로 신축 및 설립한 대한제분은 국내 제분업, 소맥분 판매업의 대표적인 기업으로 1986년에는 국내 최초로 프리믹스 제품을 수출하기도 하였다.

대한제분 입구 2010년대 / 대한제분 입구 1952년 설립 당시 국내 최대 규모로 준공한 제분시설을 1975년 동양 최대 규모의 제분공장으로 신축 및 설립한 대한제분은 국내 제분업, 소맥분 판매업의 대표적인 기업으로 1986년에는 국내 최초로 프리믹스 제품을 수출하기도 하였다.

맥아더장군 동상 2010년대 / 맥아더장군 동상 1957년 한국전쟁 당시 연합군 지휘관이었던 맥아더 장군의 인천 상륙 작전 성공을 기념하기 위해 인천 자유공원 내에 세워진 동상이다.

맥아더장군 동상 부조 2010년대 / 맥아더장군 동상 부조 1957년 한국전쟁 당시 연합군 지휘관이었던 맥아더 장군의 인천 상륙 작전 성공을 기념하기 위해 인천 자유공원 내에 세워진 동상이다.

백령도 천안함 피격 침몰지 2010년대 / 백령도 천안함 피격 침몰지 2010년 3월 26일 금요일 21:22 경 백령도 인근 해상에서 경계 작전 임무를 수행 중이던 해군 제2함대 소속의 천안함(초계함)이 북한 잠수정의 어뢰 공격을 받고 침몰한 장소로 이 사건으로 승조원 106명 중 46명이 전사하고 58명이 구조되었다.

백호 부대 전적비 2010년대 / 백호 부대 전적비 한국전쟁 1.4 후퇴 당시 백령도로 피난했던 북한 주민들 중 황해도 장연군 출신의 청년들이 백호부대를 창설하였는데, 이 기념비는 전쟁에서 산화한 북한 출신 유격대원들과 백호부대 전우를 추모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백호 부대 전적비 2010년대 / 백호 부대 전적비 한국전쟁 1.4 후퇴 당시 백령도로 피난했던 북한 주민들 중 황해도 장연군 출신의 청년들이 백호부대를 창설하였는데, 이 기념비는 전쟁에서 산화한 북한 출신 유격대원들과 백호부대 전우를 추모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부평 10 포로수용소 2010년대 / 부평 10 포로수용소 한국전쟁 당시 부평구 미군 기지 내에 위치했던 부평 10포로수용소로 1953년 6월 18일에 반공포로 석방이 이루어졌으며 그 과정에서 47명의 희생자가 발생한 곳이다. 2002년에는 이곳에 부영공원이 개장하였다.

부평 10 포로수용소 2010년대 / 부평 10 포로수용소 한국전쟁 당시 부평구 미군 기지 내에 위치했던 부평 10포로수용소로 1953년 6월 18일에 반공포로 석방이 이루어졌으며 그 과정에서 47명의 희생자가 발생한 곳이다. 2002년에는 이곳에 부영공원이 개장하였다.

사곶 비행장 2010년대 / 사곶 비행장 제1연평해전이 발생한 지 3년 만에 같은 지역에서 남북 함정 사이의 부력 충돌 재발한 장소로 남한 측 북방한계선을 침범한 북한 경비정의 기습 포격으로 교전이 시작되었으며 한국 해군은 25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사곶 비행장 2010년대 / 사곶 비행장 제1연평해전이 발생한 지 3년 만에 같은 지역에서 남북 함정 사이의 부력 충돌 재발한 장소로 남한 측 북방한계선을 침범한 북한 경비정의 기습 포격으로 교전이 시작되었으며 한국 해군은 25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성공회 강화성당 2010년대 / 성공회 강화성당 한국의 첫 세례인이 강화에서 나온 것을 기념하는 대한민국 최초의 성당으로 내부는 로마 바실리카양식을 본뜨면서도 서양식 장식이 거의 없는 한국식 목조 건물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성공회 강화성당 2010년대 / 성공회 강화성당 한국의 첫 세례인이 강화에서 나온 것을 기념하는 대한민국 최초의 성당으로 내부는 로마 바실리카양식을 본뜨면서도 서양식 장식이 거의 없는 한국식 목조 건물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현 소래포구 2010년대 / 현 소래포구 일제 강점기 당시에는 염전이 있었으며 수원과 인천을 연결하는 수인선 협궤 열차가 지나던 곳이다. 해방 후에는 실향민들이 마을을 이뤘던 장소로 현재는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관광명소이다.

구 소래포구 연도미상 / 구 소래포구 일제 강점기 당시에는 염전이 있었으며 수원과 인천을 연결하는 수인선 협궤 열차가 지나던 곳이다. 해방 후에는 실향민들이 마을을 이뤘던 장소로 현재는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관광명소이다.

송도컨벤시아 2010년대 / 송도컨벤시아 인천을 대표하는 랜드마크로 인천 경제자유구역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최첨단 시스템과 주제회의 및 전시를 할 수 있는 시설과 회의실 등이 구비되어 있다.

송도컨벤시아 2010년대 / 송도컨벤시아 인천을 대표하는 랜드마크로 인천 경제자유구역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최첨단 시스템과 주제회의 및 전시를 할 수 있는 시설과 회의실 등이 구비되어 있다.

송현배수지 제수변실 2010년대 / 송현배수지 제수변실 1905년 경인 수도 설계가 완성된 후 1908년 준공된 인천 최초의 상수도 시설로 1910년 노량진 수원지 배수지 시설이 준공되어 그 해부터 급수가 시작되었다.

송현배수지 제수변실 안내판 2010년대 / 송현배수지 제수변실 안내판 1905년 경인 수도 설계가 완성된 후 1908년 준공된 인천 최초의 상수도 시설로 1910년 노량진 수원지 배수지 시설이 준공되어 그 해부터 급수가 시작되었다.

연평도 피격 기념비 2010년대 / 연평도 피격 기념비 2010년 11월 23일, 북한이 연평도에 170여 발의 포탄을 발사하였으며 이 사건으로 인해 해병대원 2명이 전사하고 16명이 중경상을 입고 민간이 사상자가 발생하는 한편 수십 채의 가옥과 시설이 파괴되었다.

카테고리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