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다음 디지털자료 다음 현대사 현장

현대사 현장  |  들불야학 터

목 록

원본이미지 보기 들불야학 터
들불야학 터
  • 촬영연도 2018
  • 자료연대1980년대
  • 생산기관대한민국역사박물관
  • 자료주제 들불야학 터
  • 소개의 글 1978년 노동야학으로 설립되어 5·18 들불야학 7열사’가 교사로 활동하였으며, 5.18민주화운동 당시 <<투사회보>>가 제작된 들불야학이 있던 장소이다.
    광주지역의 학생 또는 노동자인 김영철·나상진·신영일·임낙평·전복길·최기혁 등은 1978년 7월 광천공단 외곽의 광천동성당 교리실인 대건안드레아교육관에서 노동야학인 들불야학을 시작하였다. 여기서 활동하던 교사들 중 박용준·윤상원은 5·18민주화운동 당시 들불야학에서 <<투사회보>>를 제작하고 계엄군에 맞서 최후까지 항전하다가 사망하였고, 박관현은 1982년 옥중에서 사망하였으며, 고문의 후유증으로 1988년 신영일, 1998년 김용철·박효선이 사망하였다. 항쟁지도부에서 윤상원은 대변인, 김영철은 기획, 박효선은 홍보를 맡아 활약하였다.
    이들 6명과 1978년 연탄가스 중독으로 사망한 박기순을 ‘5·18 들불야학 7열사’라 부른다. 1982년 2월 망월묘역에서는 윤상원과 박기순의 영혼결혼식이 열렸고, 이들의 넋을 기리기 위하여 ‘임을 위한 행진곡’이 만들어져 5·18민주화운동뿐 아니라 한국민주화운동을 상징하는 노래로 널리 불려지고 있다.
    1980년 7월 수업이 재개되었으나 1981년 7월 제4기 졸업식을 끝으로 들불야학은 사라졌고, 성당 교리실 건물이 노후되고 2004년 부지 일부가 도로에 편입되어 입구의 벽채만 남긴 채 철거되었다. 인근 광천시민아파트 역시 들불야학과 관련된 장소이다. 2013년 10월 15일 5·18민중항쟁 사적 제27호로 지정되었으며, 상무지구 5·18자유공원에도 이들을 기념하는 조형물이 세워져 있다.
    당시 건물은 철거되고 ‘대건안드레아교육관’ 표석이 붙어 있는 출입구 벽채만 보존되어 있다. 1970년대 광주지역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의 상징이자 5·18민주화운동으로 희생된 이들이 활동하였던 들불야학이 있던 공간으로 역사적 의미가 크다.
KEYWORD

민주화    민주화운동    광주    5·18    야학당



들불야학 터 부지와 주변 건물 항공사진 1970년대 / 1978 들불야학 터 부지와 주변 건물 항공사진 하늘에서 본 들불야학 터가 위치한 광천동성당(정면) 부지와 주변 건물들이다.

들불야학 터 부지와 주변 건물 항공사진 1970년대 / 1978 들불야학 터 부지와 주변 건물 항공사진 하늘에서 본 들불야학 터가 위치한 광천동성당(좌) 부지와 주변 건물들이다.

들불야학 터 부지와 주변 건물 항공사진 1970년대 / 1978 들불야학 터 부지와 주변 건물 항공사진 하늘에서 본 들불야학 터가 위치한 광천동성당(좌측면) 부지와 주변 건물들이다.

들불야학 터 부지와 주변 건물 항공사진 1970년대 / 1978 들불야학 터 부지와 주변 건물 항공사진 하늘에서 본 들불야학 터가 위치한 광천동성당(정면) 부지와 주변 건물들이다.

들불야학 터 부지와 주변 건물 항공사진 1970년대 / 1978 들불야학 터 부지와 주변 건물 항공사진 하늘에서 본 들불야학 터가 위치한 광천동성당(좌측면) 부지와 주변 건물들이다.

들불야학 터 부지와 주변 건물 항공사진 1970년대 / 1978 들불야학 터 부지와 주변 건물 항공사진 하늘에서 본 들불야학 터가 위치한 광천동성당(좌) 부지와 주변 건물들이다.

광천동성당 항공사진 1970년대 / 1978 광천동성당 항공사진 하늘에서 본 광천동성당(좌측면)과 주변 건물들이다.

광천동성당과 주변 건물 항공사진 1970년대 / 1978 광천동성당과 주변 건물 항공사진 하늘에서 본 광천동성당(후면)과 주변 건물들이다.

광천동성당과 주변 건물 항공사진 1970년대 / 1978 광천동성당과 주변 건물 항공사진 하늘에서 본 광천동성당(좌측 후면)과 주변 건물들이다.

광청동성당 항공사진 1970년대 / 1978 광청동성당 항공사진 하늘에서 본 광천동성당 건물이다.

광청동성당 조형물 항공사진 1970년대 / 1978 광청동성당 조형물 항공사진 하늘에서 본 광천동성당의 조형물이다.

들불야학 터 사적지 표지석과 들불야학당 출입문 1970년대 / 1978 들불야학 터 사적지 표지석과 들불야학당 출입문 들불야학 터 사적지 표지석과 현재 남아 있는 들불야학당 출입문이다.

들불야학 터 사적지 표지석과 들불야학당 출입문 1970년대 / 1978 들불야학 터 사적지 표지석과 들불야학당 출입문 들불야학 터 사적지 표지석과 현재 남아 있는 들불야학당 출입문이다.

들불야학 터 사적지 표지석과 들불야학당 출입문 1970년대 / 1978 들불야학 터 사적지 표지석과 들불야학당 출입문 들불야학 터 사적지 표지석과 현재 남아 있는 들불야학당 출입문이다.

들불야학당 출입문 1970년대 / 1978 들불야학당 출입문 들불야학 터에 남아 있는 들불야학당 출입문이다.

들불야학당 출입문 1970년대 / 1978 들불야학당 출입문 들불야학 터에 남아 있는 들불야학당 출입문이다.

들불야학당 출입문 벽체 일부 1970년대 / 1978 들불야학당 출입문 벽체 일부 들불야학 터에 남아 있는 들불야학당 출입문 쪽 벽체 일부(건물 외벽)이다.

대건안드레아교육관 간판 1970년대 / 1978 대건안드레아교육관 간판 들불야학당 옛 터의 보존된 벽체 출입문 위에 붙어 있는 대건안드레아교육관 간판이다.

대건안드레아교육관 간판 1970년대 / 1978 대건안드레아교육관 간판 들불야학당 옛 터의 보존된 벽체 출입문 위에 붙어 있는 대건안드레아교육관 간판이다.

들불야학 터 사적지 표지석과 안내문 1970년대 / 1978 들불야학 터 사적지 표지석과 안내문 들불야학 터 사적지 표지석과 안내문이다.

들불야학 터 사적지 표지석 1970년대 / 1978 들불야학 터 사적지 표지석 들불야학 터 사적지 표지석이다.

들불야학 터 사적지 표지석 뒷면 1970년대 / 1978 들불야학 터 사적지 표지석 뒷면 들불야학 터 사적지 표지석의 뒷면이다.

사적지 표지석 뒷면의 이름과 번호 1970년대 / 1978 사적지 표지석 뒷면의 이름과 번호 들불야학 터 사적지 표지석에 사적 번호와 사적지 이름이 쓰여진 부분이다.

사적지 표지석 이름 1970년대 / 1978 사적지 표지석 이름 들불야학 터 사적지 표지석에 사적지 이름이 쓰여진 부분이다.

사적지 표지석 설명 1970년대 / 1978 사적지 표지석 설명 들불야학 터 사적지 표지석에 사적지 설명이 쓰여진 부분이다.

사적지 표지석 번호 1970년대 / 1978 사적지 표지석 번호 들불야학 터 사적지 표지석에 사적 번호가 쓰여진 부분이다.

사적지 표지석 아래 안내문 1970년대 / 1978 사적지 표지석 아래 안내문 들불야학 터 사적지 표지석 아래의 사적지 안내문이다.

들불야학당 보존 안내 표지석 1970년대 / 1978 들불야학당 보존 안내 표지석 들불야학당 출입문 쪽 벽체 일부에 있는 보존 안내 표지석이다.

들불야학당 보존 안내 표지석 뒷면 안내문 1970년대 / 1978 들불야학당 보존 안내 표지석 뒷면 안내문 들불야학당 출입문 쪽 벽체 일부에 있는 보존 안내 표지석 뒷면의 안내문이다.

들불야학당 출입문 뒷면 1970년대 / 1978 들불야학당 출입문 뒷면 들불야학 터에 남아 있는 들불야학당 출입문 쪽 벽체 일부(건물 내벽)의 뒷면이다.

들불야학당 출입문 뒷면 1970년대 / 1978 들불야학당 출입문 뒷면 들불야학 터에 남아 있는 들불야학당 출입문 쪽 벽체 일부(건물 내벽)의 뒷면이다.

들불야학당 출입문 뒷면 1970년대 / 1978 들불야학당 출입문 뒷면 들불야학 터에 남아 있는 들불야학당 출입문 쪽 벽체 일부(건물 내벽)의 뒷면이다.

들불야학당 출입문 낡은 문틀 1970년대 / 1978 들불야학당 출입문 낡은 문틀 들불야학 옛 터에 보존된 들불야학당 출입문의 낡은 문틀이다.

카테고리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