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다음 디지털자료 다음 현대사 현장

현대사 현장  |  구 태백등기소

목 록

원본이미지 보기 구 태백등기소
구 태백등기소
  • 촬영연도 2017
  • 자료연대광복~1950년대
  • 생산기관대한민국역사박물관
  • 자료주제 구 태백등기소
  • 소개의 글 구 태백등기소는 태백시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근대 관공서 건물이다. 등기소는 지방법원에 소속되어 관내의 등기 및 공증 사무를 처리하는 관청인데 이와 관련된 법률 및 제도는 일제강점기에 제정되어 광복 이후에도 대체적으로 유지되어왔다. 태백지역의 등기 업무는 춘천지방법원 삼척등기소 관할이었는데 1955년 경 춘천지방법원 삼척등기소 태백분소를 설립하였다. 1961년 등기소의 설치와 그 관할구역에 관한 대법원 규칙이 제정되면서 제도가 정비되었고 1982년 개정 규칙 이후 삼척등기소에 속해 있던 태백분소가 독립되어 태백등기소로 승격되었다. 구 태백등기소 건물은 1956년에 완공된 것으로 삼척등기소 태백분소로 사용되었는데 태백분소가 등기소로 승격되어 황지동으로 이전하면서 삼척군 장성읍사무소로 이용되었다. 현재는 태백교육청 직원 숙소 및 식당으로 사용되고 있다. 1동 2층으로 건축면적 168.48㎡, 연면적 335.28㎡의 규모이며 건축물대장에는 1962년 준공된 것으로 등재되어 있다. 본 건축물은 철근콘크리트구조형식으로 외벽은 몰탈(mortar) 위에 수성페인트로 마감하였다. 정면은 옥탑과 현관에 얇은 슬래브를 캐노피 형식으로 돌출시켜 정면성을 강조하였고 벽에는 가늘고 얇은 필라스터를 조밀하게 수직으로 반복시키고 있다. 측면은 측벽과 전면부쪽으로 난 좁고 긴 수직창, 창과 평행으로 놓은 선홈통 등을 조형적으로 배치하는 등 근대 건축의 조형구성을 엿볼 수 있다. 계단을 중심으로 좌우에 구획된 실(室)을 배치하고 각 실은 편복도로 연결한다. 전망이 가능한 전면부에 복도를, 후면부에 배치한 실의 형태는 추운 겨울이 긴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것이다. 최근 외장을 드라이비트(Dryvit)로 변경하였으나 부분적으로 원래의 흔적이 남아있다. 창문 역시 대부분 교체되어 원형을 알 수 없으나 계단실의 2층 창문이 원형을 보전하고 있다. 문틀과 문짝 역시 대부분 원형과 다른 것으로 보인다. 구 태백등기소는 1997년 독신자 숙소, 1998년 외벽보수, 2002년 독신자 숙소 수리 등 수리기록이 남아있다. 장성동의 가파른 구릉지 중간지대에 위치하고 도시개발이 덜 이루어진 관계로 장성의 도로구조를 볼 수 있어 도로망과 대지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장소이기도 하다. 2005년 등록 문화재 제166호로 지정되었다.
KEYWORD

정부수립    관공서    등기소    태백



구 태백등기소 전경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전경 구 태백등기소의 전경이다. 구 태백등기소는 현존하는 태백에서 가장 오래된 근대 관공서 건물이다.

구 태백등기소 뒷면 전경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뒷면 전경 구 태백등기소 뒷면의 전경이다. 구 태백등기소는 장성동의 가파른 구릉지의 중간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구 태백등기소 정면 전경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정면 전경 구 태백등기소 정면 전경이다. 구 태백등기소는 현재 태백교육청 직원 숙소 및 식당으로 사용되고 있다.

구 태백등기소 우측면 전경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우측면 전경 구 태백등기소 우측면 전경이다. 구 태백등기소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 형식으로 외벽은 몰타르 위에 수성페인트로 마감하였다.

구 태백등기소 우측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우측 구 태백등기소 우측이다. 구 태백등기소 우측에는 측벽과 조그마한 창, 수직의 선홈통, 굴뚝을 조형적으로 배치하였다.

구 태백등기소 좌측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좌측 구 태백등기소 좌측이다. 구 태백등기소 좌측은 도로와 인접해 있는데 앞쪽으로 창을 세로로 길게 내어 층간을 연결하였다.

구 태백등기소 좌측 뒷면 전경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좌측 뒷면 전경 구 태백등기소 좌측 뒷면 전경이다. 구 태백등기소는 뒷면 출입문과 부속 건물을 회랑으로 연결하였다.

구 태백등기소 뒷면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뒷면 구 태백등기소 뒷면이다. 구 태백등기소는 뒷면쪽으로 방을 구성하였는데 사용 용도에 따라 1층에는 큰 창을, 2층에는 작은 창을 내었다.

구 태백등기소 우측면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우측면 구 태백등기소 우측면이다. 구 태백등기소 벽체는 벽의 일부를 앞으로 돌출시킨 얇은 필라스터를 조밀하게 반복하여 사용하였다.

구 태백등기소 출입구 정면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출입구 정면 구 태백등기소 출입구 정면이다. 구 태백등기소는 출입구 위와 옥탑에 얇은 슬래브를 돌출시켜 정면성을 강조하였다.

구 태백등기소 출입구 측면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출입구 측면 구 태백등기소 출입구 측면이다. 구 태백등기소는 얇은 필라스터와 출입구에 돌출된 슬래브가 특징적이다.

구 태백등기소 기둥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기둥 구 태백등기소 기둥이다. 구 태백등기소 기둥은 벽 앞으로 얇게 돌출시켜 조밀하게 배치하여 수직성을 강조하였다.

구 태백등기소 기둥 우측면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기둥 우측면 구 태백등기소 기둥 우측면이다. 구 태백등기소 우측에는 기둥을 8개 반복하여 배치하였고 옥상에는 기둥을 이용하여 난간을 설치하였다.

구 태백등기소 1층 계단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1층 계단 구 태백등기소의 1층 계단이다.

구 태백등기소 1층 복도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1층 복도 구 태백등기소의 1층 복도이다.

구 태백등기소 계단실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계단실 구 태백등기소 1층에서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실로 난간과 창호는 대부분 교체된 것이다.

구 태백등기소 2층 복도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2층 복도 구 태백등기소의 2층 복도이다.

구 태백등기소 옥상 계단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옥상 계단 구 태백등기소의 옥상 계단이다.

구 태백등기소 2층 창문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2층 창문 구 태백등기소의 2층 창문이다.

구 태백등기소 1층 창문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1층 창문 구 태백등기소 1층 창문인데 구 태백등기소 창문의 바깥쪽은 원형을 그대로 두고 안쪽에 새롭게 창을 달았다.

구 태백등기소 옥상 문과 창문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옥상 문과 창문 구 태백등기소의 옥상 문과 창문이다.

구 태백등기소 옥상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옥상 구 태백등기소의 옥상이다.

구 태백등기소 옥상 난간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옥상 난간 구 태백등기소 옥상 난간인데 구 태백등기소 전면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필라스터를 철봉으로 연결하여 난간을 만들었다.

구 태백등기소 부속 건물 측면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부속 건물 측면 구 태백등기소 부속 건물의 측면이다.

구 태백등기소 부속 건물 뒷면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부속 건물 뒷면 구 태백등기소 부속 건물의 뒷면이다.

구 태백등기소 부속건물 연결 회랑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부속건물 연결 회랑 구 태백등기소 부속건물의 연결 회랑이다.

구 태백등기소 쓰레기 소각장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쓰레기 소각장 구 태백등기소 부속건물 뒤에 위치한 쓰레기 소각장이다.

구 태백등기소 표석 정면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표석 정면 구 태백등기소 표석의 정면이다.

구 태백등기소 표석 뒷면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표석 뒷면 구 태백등기소 표석의 뒷면이다.

구 태백등기소 근대문화유산 동판 광복~1950년대 / 1956년 구 태백등기소 근대문화유산 동판 구 태백등기소의 근대문화유산 동판이다.

카테고리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