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홍명희 생가

목 록

원본이미지 보기 홍명희 생가
홍명희 생가
  • 촬영연도 2017
  • 자료연대개항~대한제국(1910)
  • 생산기관대한민국역사박물관
  • 자료주제 홍명희 생가
  • 소개의 글 홍명희 생가(홍범식 고가)는 1910년 한일늑약에 항거하여 자결 순국한 금산군수 홍범식(洪範植, 1871-1910)의 고택인 동시에, 『임꺽정』의 작가 벽초 홍명희(洪命喜, 1888-1968)가 태어나고 성장한 집으로, 1919년 3월 19일에는 사랑채에서 괴산만세시위를 준비하기도 한 장소적 의미를 지닌 곳이다. 홍명희의 증조부는 홍우길은 판서를 지냈고, 할아버지 홍승목은 중추원 참의를 지냈으며 조선총독부가 주는 작위를 받았다. 그러나 그의 아버지 금산군수 홍범식은 한일합방에 분개하여 자결하였다. 홍명희는 경술국치와 부친의 순국 이후 독립운동을 모색하였으며 서울에서 3․1만세시위를 목도하고 괴산으로 돌아와 만세시위를 계획하였다. 평소 친분이 있던 이재성과 김인수를 비롯한 수 십 명과 고가의 사랑채에 모여 시위를 준비하였는데 숙부 홍용식과 홍태식 그리고 아우 홍성희 등은 홍명희가 주도하는 만세시위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였다. 홍명희는 3월 19일 괴산 장날에 독립만세를 선창하며 시위를 주도하였으나 곧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의 선고를 받았다. 그 후 동아일보 편집국장과 시대일보 사장을 역임하고 오산학교 교장으로 근무하였다. 또한 아들 홍기문과 함께 신간회 결성에 참여하였다. 독립운동과 함께 1928년 11월 21일 소설 ‘임꺽정’을 조선일보에 연재하기 시작했다. 1939년 3월 11일까지 13년에 걸쳐 연재되고 자매지 ‘조광’에도 발표하였다. 된 것을 비롯해 1930년대 그가 쓴 거의 모든 글은 조선일보와 자매지 '조광'에 발표됐다.
    광복 후 1948년 월북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내각 부수상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의 초대, 제3대 부위원장을 역임하였다. 홍명희 생가는 1730년경에 건축된 것으로 보이며, 조선 후기 중부지방 양반가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정남향으로 지어진 건물로 안채, 사랑채, 아랫사랑채, 대문채, 광채 등 13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옥의 중심부를 이루고 있는 안채는 중부지방 양반집 특징인 좌우대칭 평면형으로, 자연석 초벌대 기단 위에 방형초석을 놓고 방형기둥을 세운 정면 5칸, 측면 6칸의 ‘ㄷ'자형이다. 이 가옥은 건축 및 문학, 항일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2002년 12월 20일 충청북도 민속문화재 제14호로 지정되었다. 1996년부터 (사)충북민예총 충북작가회의와 사계절출판사 공동으로 매년 홍명희 문학제가 열리고 있다.
KEYWORD

독립운동    일제 강점기    홍명희    홍범식    문학    임꺽정



홍명희 생가 전경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전경 홍명희 생가의 전경이다. 홍명희 생가는 홍범식 고택인 동시에, 홍명희가 태어나고 성장한 집으로, 3·1운동 때 사랑채에서 괴산만세시위를 준비하기도 한 장소이다.

홍명희 생가 전경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전경 홍명희 생가의 전경으로 홍명희 생가는 사랑채와 안채, 광채, 대문채 등 13동으로 구성되었다.

홍명희 생가 뒷면 전경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뒷면 전경 홍명희 생가의 뒷면 전경이다. 홍명희 생가는 좌우대칭 평면구조를 갖는 중부지방 양반 살림집 특징을 잘 보여준다.

홍명희 생가 정면 전경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정면 전경 홍명희 생가의 정면 전경이다. 홍명희 생가는 대문채 좌측에 사랑채가 있으며 대문채와 광채의 뒷면이 마주보고 있는 구조이다.

홍명희 생가 우측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우측 홍명희 생가의 우측으로 담은 돌담을 쌓았으며 그 위에 기와를 얹었다.

홍명희 생가 대문 우측면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대문 우측면 홍명희 생가 대문의 우측면으로 대문 오른쪽으로 굴뚝이 위치한다.

홍명희 생가 대문 정면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대문 정면 홍명희 생가 대문의 정면으로 대문은 솟을대문으로 대문 양 옆에 3칸씩의 대문채가 있다.

홍명희 생가 대문과 추모비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대문과 추모비 홍명희 생가의 대문과 추모비이다.

홍명희 생가 대문 우측면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대문 우측면 홍명희 생가 대문의 우측면으로 대문채는 홑처마 맞배지붕 형태이다.

홍명희 생가 대문 굴뚝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대문 굴뚝 홍명희 생가 대문의 굴뚝으로 흙과 기와를 쌓아 만들었으며 굴뚝 앞쪽으로 연기가 나가는 길이 있다.

홍명희 생가 대문채 우측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대문채 우측 홍명희 생가 대문채의 우측이다. 홍명희 생가 대문채는 정면 7칸, 측면 1칸 규모이며 오른쪽은 광을 왼쪽은 방을 들였다.

홍명희 생가 대문채 우측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대문채 우측 홍명희 생가 대문채의 우측이다. 홍명희 생가의 대문은 안으로 여닫는 문이며 왼쪽 방 앞에는 쪽마루를 놓았다.

홍명희 생가 대문채 정면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대문채 정면 홍명희 생가 대문채의 정면이다. 홍명희 생가 대문 외부쪽 중앙에는 대문이 밀려나가지 않도록 돌을 세워 놓았다.

홍명희 생가 아래 사랑채 전면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아래 사랑채 전면 홍명희 생가 아래 사랑채의 전면으로 홍명희 생가 대문을 통과하여 좌측 쪽문으로 들어가면 아래 사랑채가 있다.

홍명희 생가 아래 사랑채 우측면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아래 사랑채 우측면 홍명희 생가 아래 사랑채의 우측면으로 홍명희 생가 아래 사랑채는 전면 4칸, 측면 1칸 규모이며 맞배지붕 건축물이다.

홍명희 생가 아래 사랑채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아래 사랑채 홍명희 생가의 아래 사랑채이다.

홍명희 생가 아래 사랑채 주춧돌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아래 사랑채 주춧돌 홍명희 생가 아래 사랑채의 주춧돌이다.

홍명희 생가 중문 정면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중문 정면 홍명희 생가 중문의 정면으로 사랑채로 들어가는 중문은 2칸 규모로 한 칸을 문으로 사용하고 있다.

홍명희 생가 중문 전경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중문 전경 홍명희 생가 중문의 전경으로 아래 사랑채를 돌아가면 사랑채로 들어가는 중문이 있다.

홍명희 생가 중문 측면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중문 측면 홍명희 생가 중문의 측면으로 중문 한 칸은 광으로 사용하는데 측면에 살창이 있다.

홍명희 생가 사랑채 좌측면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사랑채 좌측면 홍명희 생가 사랑채의 좌측면으로 사랑채는 전후 툇구조를 하고 있다.

홍명희 생가 사랑채 정면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사랑채 정면 홍명희 생가 사랑채의 정면으로 사랑채는 자연석 두벌대 기단 위에 방형초석을 놓고 방형 기둥을 세웠다.

홍명희 생가 사랑채 우측면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사랑채 우측면 홍명희 생가 사랑채 우측면의 방은 앞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툇마루도 꺾인 모습으로 연결되어 있다.

홍명희 생가 사랑채 기둥과 툇마루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사랑채 기둥과 툇마루 홍명희 생가 사랑채의 기둥과 툇마루이다.

홍명희 생가 사랑채 초석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사랑채 초석 홍명희 생가 사랑채 초석으로 방형 초석을 놓았으며 툇마루 아래 댓돌을 놓았다.

홍명희 생가 안채 광채 전경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안채 광채 전경 대문을 들어서면 보이는 홍명희 생가 안채 광채의 전경이다.

홍명희 생가 쪽문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쪽문 홍명희 생가의 대문채 앞마당에서 외부 광채로 연결되는 쪽문이다.

홍명희 생가 쪽문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쪽문 홍명희 생가의 대문채에서 아래 사랑채로 들어가는 쪽문이다.

홍명희 생가 아래 사랑채 뒷면 정면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아래 사랑채 뒷면 정면 홍명희 생가 아래 사랑채의 뒷면 정면이다.

홍명희 생가 아래 사랑채 뒷면 측면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아래 사랑채 뒷면 측면 홍명희 생가 아래 사랑채의 뒷면 측면으로 아래 사랑채는 3개의 방을 들였고 우측에 광을 배치하였다.

홍명희 생가 아래 사랑채와 중문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아래 사랑채와 중문 홍명희 생가의 아래 사랑채와 중문이다.

홍명희 생가 사랑채 중문 정면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사랑채 중문 정면 홍명희 생가 사랑채 중문의 정면으로 사랑채 중문은 2칸 규모인데 한 칸은 문으로, 다른 한 칸은 광으로 사용한다.

홍명희 생가 변소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변소 홍명희 생가의 변소이다.

홍명희 생가 광채 좌측면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광채 좌측면 홍명희 생가 광채의 좌측면으로 광으로 들어가는 문이 나 있다.

홍명희 생가 안채 전경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안채 전경 홍명희 생가 안채 전경으로 안채는 'ㄷ'자 모양인데 그 앞에 광채가 있어 전체적으로 'ㅁ'자의 배치를 하고 있다.

홍명희 생가 안채 우측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안채 우측 홍명희 생가 안채의 우측으로 방과 부엌이 있다.

홍명희 생가 안채 좌측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안채 좌측 홍명희 생가 안채 좌측으로 안채는 중부지방 양반집 특징인 좌우대칭 평면형을 이루고 있다.

홍명희 생가 안채 부엌과 방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안채 부엌과 방 홍명희 생가의 안채 부엌과 방 앞의 모습이다.

홍명희 생가 안채 대청마루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안채 대청마루 홍명희 생가 안채의 대청마루로 뒤에 문을 달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였다.

홍명희 생가 안채 대청마루 들보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안채 대청마루 들보 홍명희 생가 안채 대청마루의 들보로 서까래와 중보, 대들보이다.

홍명희 생가 안채 상량문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안채 상량문 홍명희 생가 안채 상량문에는 단기 4338년에 상량했다는 글이 써 있다.

홍명희 생가 안채 마루에서 본 광채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안채 마루에서 본 광채 홍명희 생가 안채 마루에서 바라본 광채인데 홍명희 생가 광채는 4칸 규모인데 2칸은 문을 달았고 2칸은 개방된 공간이다.

홍명희 생가 안채 내부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안채 내부 홍명희 생가 안채의 2칸 방 내부이다.

홍명희 생가 안채 뒷면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안채 뒷면 홍명희 생가 안채 뒷면으로 3면에 모두 툇을 두었다.

홍명희 생가 안채 뒷면 정면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안채 뒷면 정면 홍명희 생가 안채의 뒷면 정면이다.

홍명희 생가 안채 뒷면 측면부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안채 뒷면 측면부 홍명희 생가 안채의 뒷면 측면부이다.

홍명희 생가 안채 뒷면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안채 뒷면 홍명희 생가 안채 뒷면으로 방문 앞에 툇마루가 있다.

홍명희 생가 광재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광재 홍명희 생가 안채의 뒤쪽에 위치해 있는 광채이다.

홍명희 생가 쪽문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가 쪽문 홍명희 생가 쪽문으로 안채 뒷뜰에서 외부와 연결되는 문이다.

홍명희 생각 안채 뒤뜰 개항~대한제국(1910) / 1888년 홍명희 생각 안채 뒤뜰 홍명희 생각 안채의 뒤뜰이다.

카테고리 검색